-
환경
초순수 제조공정 분석
초순수 제조공정 분석
초순수는 원수에 함유된 물질을 제거하여 이론적 순수 (비저항18.25MΩ.cm)에 근접한 물을 의미 합니다. 초순수는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Utility로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불량률을 줄이기 위하여 초순수 수질 기준도 강화되고 있으며, 강화되는 수질을 충족하기 위하여 초순수 제조공정도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초순수 제조공정은 전처리, 순수처리, 초순수처리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초순수 제조공정에는 전처리UF, RO, 탈기막, Final UF...
자세히 보기2023-02-20 김문기(mkkim)- 1
-
화학
전기화학적 탈이온화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 동향
전기화학적 탈이온화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 동향
1. 서론 최근 음용이 가능한 물의 부족(수량 및 수질적인 측면에서)으로 인하여 해수를 담수화하거나 또는 하수 또는 폐수를 처리하여 재이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해수담수화와 처리수 재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중에 존재하는 이온성 물질의 제거이며, 이를 위해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리막 기술로 microfiltration, ultrafiltration, nanofiltration, reverse osmosis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
자세히 보기2019-10-16 문철환(highmoon)- 0
-
물관리
6가 크롬 제거를 위한 pilot-scale 이온교환 칼럼의 재생
6가 크롬 제거를 위한 pilot-scale 이온교환 칼럼의 재생
1.분석자 서문 더욱더 엄격해진 규제로 인하여, 일부 음용수 공급업체는 10 mg/L인 캘리포니아 규제치의 6가 크롬에 대한 음용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처리 공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은 6가 크롬 제거에 효율적이지만, 운영, 경제적 및 환경적 고려사항에 대해 효율적인 수지 재생 및 폐기물 최소화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재생효율, 폐기물 발생 및 염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pilot 규모 칼럼에서 다중 재생 방법들을 비교분석하였다. 2N 염화나트륨(NaCl)...
자세히 보기2018-02-27 김지영(jigang1004)- 0
-
에너지/자원
농도 차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 연구
농도 차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 연구
#9월 우수전문가 동향보고서(KOSEN Expert Insight)# 이 자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 계신 권길성전문가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1. 개요 파리기후변화협정의 이행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 목적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용액의 농도 차이를 유용한 에너지로 전환하는 농도 차 발전(Salinity Gradient Power, SGP) 기술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중 하나로, 전 세계 강하구로부터 추산된 높은 잠재적 에너지량(~1.9...
자세히 보기2017-10-26 권길성(kks840214)- 0
-
화공
특수 폐수의 처리를 위한 제올라이트 흡착제 활용
특수 폐수의 처리를 위한 제올라이트 흡착제 활용
1. 분석자 서문 본 자료는 제올라이트의 우수한 흡착 특성을 활용한 특수 폐수 처리 기술을 다루고 있다. 산성 광산 배수, 매립 침출수, 방사성폐기물, 도시 유출수 각각의 특성에 따른 제올라이트의 흡착 제거 효율 비교 및 성능 향상을 위한 표면 개질 기술을 살펴보고, 이러한 제올라이트 흡착 반응 해석을 위한 다양한 등온선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2. 목차 1. 서론 2. 산성 광산 배수 3. 매립 침출수 4. 방사성 폐기물 및 낙진 5. 도시 유출수 6. 흡착 반응기 및...
자세히 보기2015-09-16 정경아(kajung)- 0
-
재료
다공성 매트릭스에 제한된 이온성 액체 : 물리화학적 특성과 응용
다공성 매트릭스에 제한된 이온성 액체 : 물리화학적 특성과 응용
1. 분석자 서문 이온성 액체는 전기화학 디바이스와 친환경 화학 등의 분야에 널리 쓰이는 재료다. 디바이스의 실제 응용을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나 다공성 매트릭스에 함침되어 쓰인다. 본 리뷰는 나노기공에 함침된 이온성 액체의 과학기술 분야의 응용을 다루고 있다 2. 목차 1. 서론 2. 이온성 액체 2.1. 이온성 액체의 역사 2.2. 주요 이온성 액체 2.3. 이온성 액체 특성 3. 제한된 구조에서의 물질 3.1. 초기 연구 3.2. 제한된 구조 형태 ...
자세히 보기2015-02-17 배우진(bwoojin)- 1
-
토양/지하수 복원/관리
이온 교환-압력 구동식 막 기술을 혼합한 수 처리 동향
이온 교환-압력 구동식 막 기술을 혼합한 수 처리 동향
1. 분석자 서문 수질정화를 위해서는 예로부터 복식증류가 유일한 수단 이었으나, 물을 비등시키는데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또한 연속운전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코스트가 높다. 따라서 저렴하고도 대량의 순수를 얻는 이온교환수지나 역삼투막이 보급되었다. 최근에는 이온교환막과 이온교환수지가 증류기 대신에 전기재생 식 이온교환장치(Electrodeionization:EDI)그리고 역 삼투막이 보급되고 있다. 이온교환수지이용 수 처리는 평균 99%정도의 이온제거가 가능하고 다단화가 가능하...
자세히 보기2014-02-11 신희덕(hd5742)- 0
-
전력IT
바나듐-산화환원-흐름전지(VRB)에 사용되는 이온교환막
바나듐-산화환원-흐름전지(VRB)에 사용되는 이온교환막
1. 분석자 서문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VRB)는 매력적인 대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로 광범위한 주목을 받고 있다. VRB의 주요한 물질인 이온교환막(IEM)은 양극과 음극의 혼합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전류가 흐르기 위한 이온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본 자료는 IEM의 이해를 돕기 위해 IEM의 모든 면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처음에는 VRB의 일반적인 사항을 고찰한 후, IEM의 역할과 개선된 IME 대체물질의 요구사항을 함께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VRB용 IEM의 최근 진보가 검토되고 차...
자세히 보기2012-05-08 양상기(snoopy815)- 0
-
기타 에너지/자원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개발 동향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개발 동향
1. 분석자 서문 1930년대에 최초로 개발된 알칼라인 연료전지는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는 연료전지 중의 하나이다. 1960년대에는 NASA에 의해 아폴로 우주선의 전원 장치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 때문에 알칼라인 연료전지의 응용 분야에 있어 한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알칼라인 연료전지는 산소 환원 반응에 필요한 촉매로서 상대적으로 저가인 비 귀금속 류를 사용할 수 있고, 휴대용 응용 분야의 경우 보다 높은 농도의 연료 또는 다양한 종류의 연료...
자세히 보기2012-01-17 이훈희(eguitar97)- 0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1. 제목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기술 개발 연구 및 환경관련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환경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시작된 것은 1985년 과기처의 공공복지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 최초이다. 이후 1989년 물파동을 계기로 음용수 수질평가 및 수질오염 정화기술 개발 등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에 단편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오다...
자세히 보기2007-03-09 조경숙()- 0
전체 11개
-
환경
초순수 제조공정 분석
초순수 제조공정 분석
초순수는 원수에 함유된 물질을 제거하여 이론적 순수 (비저항18.25MΩ.cm)에 근접한 물을 의미 합니다. 초순수는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Utility로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불량률을 줄이기 위하여 초순수 수질 기준도 강화되고 있으며, 강화되는 수질을 충족하기 위하여 초순수 제조공정도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초순수 제조공정은 전처리, 순수처리, 초순수처리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초순수 제조공정에는 전처리UF, RO, 탈기막, Final UF...
자세히 보기2023-02-20 김문기(mkkim)- 1
-
화학
전기화학적 탈이온화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 동향
전기화학적 탈이온화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 동향
1. 서론 최근 음용이 가능한 물의 부족(수량 및 수질적인 측면에서)으로 인하여 해수를 담수화하거나 또는 하수 또는 폐수를 처리하여 재이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해수담수화와 처리수 재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중에 존재하는 이온성 물질의 제거이며, 이를 위해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리막 기술로 microfiltration, ultrafiltration, nanofiltration, reverse osmosis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
자세히 보기2019-10-16 문철환(highmoon)- 0
-
물관리
6가 크롬 제거를 위한 pilot-scale 이온교환 칼럼의 재생
6가 크롬 제거를 위한 pilot-scale 이온교환 칼럼의 재생
1.분석자 서문 더욱더 엄격해진 규제로 인하여, 일부 음용수 공급업체는 10 mg/L인 캘리포니아 규제치의 6가 크롬에 대한 음용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처리 공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은 6가 크롬 제거에 효율적이지만, 운영, 경제적 및 환경적 고려사항에 대해 효율적인 수지 재생 및 폐기물 최소화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재생효율, 폐기물 발생 및 염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pilot 규모 칼럼에서 다중 재생 방법들을 비교분석하였다. 2N 염화나트륨(NaCl)...
자세히 보기2018-02-27 김지영(jigang1004)- 0
-
에너지/자원
농도 차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 연구
농도 차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 연구
#9월 우수전문가 동향보고서(KOSEN Expert Insight)# 이 자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 계신 권길성전문가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1. 개요 파리기후변화협정의 이행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 목적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용액의 농도 차이를 유용한 에너지로 전환하는 농도 차 발전(Salinity Gradient Power, SGP) 기술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중 하나로, 전 세계 강하구로부터 추산된 높은 잠재적 에너지량(~1.9...
자세히 보기2017-10-26 권길성(kks840214)- 0
-
화공
특수 폐수의 처리를 위한 제올라이트 흡착제 활용
특수 폐수의 처리를 위한 제올라이트 흡착제 활용
1. 분석자 서문 본 자료는 제올라이트의 우수한 흡착 특성을 활용한 특수 폐수 처리 기술을 다루고 있다. 산성 광산 배수, 매립 침출수, 방사성폐기물, 도시 유출수 각각의 특성에 따른 제올라이트의 흡착 제거 효율 비교 및 성능 향상을 위한 표면 개질 기술을 살펴보고, 이러한 제올라이트 흡착 반응 해석을 위한 다양한 등온선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2. 목차 1. 서론 2. 산성 광산 배수 3. 매립 침출수 4. 방사성 폐기물 및 낙진 5. 도시 유출수 6. 흡착 반응기 및...
자세히 보기2015-09-16 정경아(kajung)- 0
-
재료
다공성 매트릭스에 제한된 이온성 액체 : 물리화학적 특성과 응용
다공성 매트릭스에 제한된 이온성 액체 : 물리화학적 특성과 응용
1. 분석자 서문 이온성 액체는 전기화학 디바이스와 친환경 화학 등의 분야에 널리 쓰이는 재료다. 디바이스의 실제 응용을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나 다공성 매트릭스에 함침되어 쓰인다. 본 리뷰는 나노기공에 함침된 이온성 액체의 과학기술 분야의 응용을 다루고 있다 2. 목차 1. 서론 2. 이온성 액체 2.1. 이온성 액체의 역사 2.2. 주요 이온성 액체 2.3. 이온성 액체 특성 3. 제한된 구조에서의 물질 3.1. 초기 연구 3.2. 제한된 구조 형태 ...
자세히 보기2015-02-17 배우진(bwoojin)- 1
-
토양/지하수 복원/관리
이온 교환-압력 구동식 막 기술을 혼합한 수 처리 동향
이온 교환-압력 구동식 막 기술을 혼합한 수 처리 동향
1. 분석자 서문 수질정화를 위해서는 예로부터 복식증류가 유일한 수단 이었으나, 물을 비등시키는데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또한 연속운전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코스트가 높다. 따라서 저렴하고도 대량의 순수를 얻는 이온교환수지나 역삼투막이 보급되었다. 최근에는 이온교환막과 이온교환수지가 증류기 대신에 전기재생 식 이온교환장치(Electrodeionization:EDI)그리고 역 삼투막이 보급되고 있다. 이온교환수지이용 수 처리는 평균 99%정도의 이온제거가 가능하고 다단화가 가능하...
자세히 보기2014-02-11 신희덕(hd5742)- 0
-
전력IT
바나듐-산화환원-흐름전지(VRB)에 사용되는 이온교환막
바나듐-산화환원-흐름전지(VRB)에 사용되는 이온교환막
1. 분석자 서문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VRB)는 매력적인 대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로 광범위한 주목을 받고 있다. VRB의 주요한 물질인 이온교환막(IEM)은 양극과 음극의 혼합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전류가 흐르기 위한 이온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본 자료는 IEM의 이해를 돕기 위해 IEM의 모든 면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처음에는 VRB의 일반적인 사항을 고찰한 후, IEM의 역할과 개선된 IME 대체물질의 요구사항을 함께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VRB용 IEM의 최근 진보가 검토되고 차...
자세히 보기2012-05-08 양상기(snoopy815)- 0
-
기타 에너지/자원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개발 동향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개발 동향
1. 분석자 서문 1930년대에 최초로 개발된 알칼라인 연료전지는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는 연료전지 중의 하나이다. 1960년대에는 NASA에 의해 아폴로 우주선의 전원 장치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 때문에 알칼라인 연료전지의 응용 분야에 있어 한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알칼라인 연료전지는 산소 환원 반응에 필요한 촉매로서 상대적으로 저가인 비 귀금속 류를 사용할 수 있고, 휴대용 응용 분야의 경우 보다 높은 농도의 연료 또는 다양한 종류의 연료...
자세히 보기2012-01-17 이훈희(eguitar97)- 0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1. 제목 환경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정책 방향 조사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기술 개발 연구 및 환경관련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환경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시작된 것은 1985년 과기처의 공공복지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 최초이다. 이후 1989년 물파동을 계기로 음용수 수질평가 및 수질오염 정화기술 개발 등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에 단편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오다...
자세히 보기2007-03-09 조경숙()-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