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센리포트

코센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원하시는 주제는 '주제신청' 게시판에, 보고서 작성을 원하시는 분은 '작성신청' 게시판에서 참여해주세요.

  • 보건의료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지난 몇 년 동안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대유행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쉽게도 가까운 미래에 종식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유행을 쉽게 종식시키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는 병인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바이러스질환을 동물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일한 감염 경로가 존재해야 하고, 감염 후 면역...

    자세히 보기

  • 환경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중국 우한에서 처음 COVID-19 사례가 보고된 후 12개월이 경과한 2020년 12월 영국에서는 SARS-CoV-2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다시 2개월 후에는 전염성과 치명률이 높은 새로운 변이가 캐나다 10개 도시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91개국에서도 검출되었다.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순환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400만 명에 달했다(2022년 3월 초 기준으로는 약 600만 명). 비록 코로나...

    자세히 보기
    2022-03-29 문철환(highmoon)

  • 생명과학

    코비드-19에서 대사 질환자들의 취약성

    코비드-19에서 대사 질환자들의 취약성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사스-코브-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type 2, SARS-CoV-2) 바이러스는 엄청난 속도로 전 세계에 퍼지기 시작했고, 순식간에 팬데믹으로 몰아넣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이르게 만들었다. 각국은 봉쇄 조치,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을 통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으려 애썼고, 2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바이러스의 변이와 백신 접종을 통해 중증 환자의 비율은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

    자세히 보기
    2021-11-03 이윤경(ylee25)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
    2021-10-08 문철환(highmoon)

  • 보건의료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ARS-CoV-2 진단 기술 개발 동향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ARS-CoV-2 진단 기술 개발 동향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ronaVirus Disease-19, COVID-19)의 발생은 전 세계인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유행(pandemic) 상태이다.[1] 그러므로 신속하게 사람들로부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SARS-CoV-2) 확진 여부를 진단하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결정을 안내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기준과 질병 관리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데 중...

    자세히 보기
    2021-07-15 이상후(sprout30)

  • 환경

    정수와 하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거동

    정수와 하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거동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을 유발하는 coronavirus 2이고, 줄여서 SARS-CoV-2 또는 coronavirus disease 19(COVID-19)이라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positive-sense single-strained RNA(ribonucleic acid) 바이러스과에 속하며, alpha, beta, gamma, delta 등 네 종류로 분류된다.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보기
    2021-07-08 문철환(highmoon)

  • 생명과학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COVID-19)는 현재 전 세계 팬데믹을 몰고 온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185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 확진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COVID-19은 여러 수준에서 심혈관계와 상호작용하는데, 기저 심혈관질환이 있고 심근세포의 손상 및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병적 상태를 더 악화시킨다. COVID-19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는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RNA를 가지고 있으며...

    자세히 보기
    2020-09-22 나지훈(moogun81)

  • 보건의료

    변이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재출현의 조기 탐지를 위한 모니터링 체제 수립

    변이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재출현의 조기 탐지를 위한 모니터링 체제 수립

    1. 개요  코로나19는 2019년에 중국에서 발생하여 2020년 6월 말 현재 219개 국가에서 거의 1 천만명의 환자와 50여만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그 유행을 계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만3천여명의 확진자와 282명의 사망을 보이고 있으면서 낮은 수준의 유행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의 방역에서 가장 큰 이슈 중의 하나는 이 유행이 끝난 후에 코로나바이러스—19의 출현을 빠른 시기에 찾아내는 일이다. 즉 최근에 보고된 역학 기술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또 ...

    자세히 보기

1 
1 
1 

전체 8개

  • 보건의료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지난 몇 년 동안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대유행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쉽게도 가까운 미래에 종식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유행을 쉽게 종식시키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는 병인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바이러스질환을 동물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일한 감염 경로가 존재해야 하고, 감염 후 면역...

    자세히 보기

  • 환경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중국 우한에서 처음 COVID-19 사례가 보고된 후 12개월이 경과한 2020년 12월 영국에서는 SARS-CoV-2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다시 2개월 후에는 전염성과 치명률이 높은 새로운 변이가 캐나다 10개 도시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91개국에서도 검출되었다.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순환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400만 명에 달했다(2022년 3월 초 기준으로는 약 600만 명). 비록 코로나...

    자세히 보기
    2022-03-29 문철환(highmoon)

  • 생명과학

    코비드-19에서 대사 질환자들의 취약성

    코비드-19에서 대사 질환자들의 취약성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사스-코브-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type 2, SARS-CoV-2) 바이러스는 엄청난 속도로 전 세계에 퍼지기 시작했고, 순식간에 팬데믹으로 몰아넣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이르게 만들었다. 각국은 봉쇄 조치,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을 통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으려 애썼고, 2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바이러스의 변이와 백신 접종을 통해 중증 환자의 비율은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

    자세히 보기
    2021-11-03 이윤경(ylee25)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
    2021-10-08 문철환(highmoon)

  • 보건의료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ARS-CoV-2 진단 기술 개발 동향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ARS-CoV-2 진단 기술 개발 동향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ronaVirus Disease-19, COVID-19)의 발생은 전 세계인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유행(pandemic) 상태이다.[1] 그러므로 신속하게 사람들로부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SARS-CoV-2) 확진 여부를 진단하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결정을 안내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기준과 질병 관리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데 중...

    자세히 보기
    2021-07-15 이상후(sprout30)

  • 환경

    정수와 하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거동

    정수와 하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거동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을 유발하는 coronavirus 2이고, 줄여서 SARS-CoV-2 또는 coronavirus disease 19(COVID-19)이라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positive-sense single-strained RNA(ribonucleic acid) 바이러스과에 속하며, alpha, beta, gamma, delta 등 네 종류로 분류된다.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보기
    2021-07-08 문철환(highmoon)

  • 생명과학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COVID-19)는 현재 전 세계 팬데믹을 몰고 온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185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 확진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COVID-19은 여러 수준에서 심혈관계와 상호작용하는데, 기저 심혈관질환이 있고 심근세포의 손상 및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병적 상태를 더 악화시킨다. COVID-19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는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RNA를 가지고 있으며...

    자세히 보기
    2020-09-22 나지훈(moogun81)

  • 보건의료

    변이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재출현의 조기 탐지를 위한 모니터링 체제 수립

    변이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재출현의 조기 탐지를 위한 모니터링 체제 수립

    1. 개요  코로나19는 2019년에 중국에서 발생하여 2020년 6월 말 현재 219개 국가에서 거의 1 천만명의 환자와 50여만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그 유행을 계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만3천여명의 확진자와 282명의 사망을 보이고 있으면서 낮은 수준의 유행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의 방역에서 가장 큰 이슈 중의 하나는 이 유행이 끝난 후에 코로나바이러스—19의 출현을 빠른 시기에 찾아내는 일이다. 즉 최근에 보고된 역학 기술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또 ...

    자세히 보기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