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과학기술과 다양성
과학기술과 다양성
다양성은 인종/민족, 성별, 장애 여부, 국적, 종교, 성적 지향,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포함한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2020년 조지 플루이드의 사망 사건 이후 각계각층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과학기술계도 예외가 아니다. 미국의 과학기술계에서는 사회를 이루는 소수자 즉 여성 및 유색인종의 사회 구성 비율에 비해 과학기술에 종사하는 비율이 낮으며, 그 안에서도 인종차별이 있거나 성과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성취가 평가절하되는 ...
자세히 보기- KOSEN
- KOSENReport
- Higher Education
- Diversity
- Research and Development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2023-02-20 이경선(kylee414)- 2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지역 과학기술 역량 진단 동향
지역 과학기술 역량 진단 동향
전 세계적으로 지역 경제의 개발을 위해 지역의 과학기술 및 혁신이 중요해지고 있다. 각국에서는 이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여 지역 과학기술 혁신 현황을 확인하고, 향후 관련 정책 추진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각국의 지역 과학기술 혁신 관련 지표를 정리해보고, 최근 성과를 토대로 각국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 조사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먼저 한국의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COSTII: Regional COmposite Scie...
자세히 보기- innovation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research policy
- innovation policy
-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2020-11-11 이경선(kylee414)-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정책 현황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정책 현황
20020년 6월, 일본 문부과학성은 2020년 과학기술백서(이하 백서)를 발표하였다.[1] 매년 발행하는 과학기술백서는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고 있다. 2020년 백서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상 및 2040년 미래사회 청사진을 중점에 두고 이를 고려한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 추진 현황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일본의 과학기술정책은 2016년부터 실시된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따르고 있다.[2] 일본의 과학기술기본...
자세히 보기- Japan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research policy
- innovation policy
- science and technology white paper
2020-09-16 이경선(kylee414)-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과학기술 혁신 현황
일본의 과학기술 혁신 현황
1. 서론 2020년 5월 일본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오픈 이노베이션 벤처창조협의회(JOIC)와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 제3판’을 발표하였다.[1]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이하 백서)는 일본의 일본 이노베이션 창출 현황 및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미 2016년 초판이, 2018년 제2판이 발행되었다. 이번 백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역사를 정리하고, 국제 및 일본 국내시장의 발생 요인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자세히 보기2020-08-14 이경선(kylee414)- 0
-
기계
New Space 국내외 우주개발 동향과 전망
New Space 국내외 우주개발 동향과 전망
1. New Space: “새롭게 등장하는” 상업 우주산업 1.1. New Space의 정의 New Space는 일종의 기업 활동 관련 조류 혹은 철학을 의미하는 것이며, 민간 우주산업의 강화 즉 상대적으로 새로운 우주 기업의 활동 양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우주 또는 우주비행에서의 저비용 개발을 추구하는 기술 및 정책 경향을 말한다. 따라서 새로운 우주 프런티어를 개척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가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1]. 표...
자세히 보기2019-11-25 김종범(jbkimjbkim)-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제목 :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1.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회의결과 가. 회의 개요 ○ 회의명: The 89th Session, Committe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일시 및 장소: 2007.3.36-27 / 프랑스 파리 ○ 참석자: 과기부 최광연 과장, 정건영 사무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태영 박사, 주OECD태표부 이경희 과학관 나. 핵심 내용 ○ 2007년 5월 각료급 이사회 회의에...
자세히 보기2008-04-10 이경희()-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2007/05)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2007/05)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 1. Sloan Industry Studies Annual Conference 2007 ○ 개최 일시 : April 25 ? 27 ○ 개최 장소 : 보스턴 하이야트 호텔 ○ 개요 : Sloan Industry Studies Annual Conference는 Alfred P. Sloan 재단 (www.sloan.org)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술대회로 산업연구 및 정책 (Industry studies & policy) 관련 논문들이 발표...
자세히 보기2007-06-29 한선화(shhahn)-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분석
일본의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분석
1. 분석자 서문 일본은 과학기술창조입국을 목표로 1995년 과학기술기본법을 수립하면서, 과학기술진흥을 일본의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삼고, 관련 정책을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1기 과학기술기본계획(1996-2000) 수립을 시작으로 올해의 제3기 기본계획(2006-2010)까지 3기에 걸쳐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 오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1년 과학기술기본법 수립 후 현재 1차 기본계획(2003-2007)을 시행 중이며, ...
자세히 보기2006-12-13 강현규(babobabo)-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경쟁력 확보에 있어 계산과학의 역할- 미국
경쟁력 확보에 있어 계산과학의 역할- 미국
문서암호 : www.kosen21.org1. 분석자 서문이 문서는 미국의 대통령 정보기술 자문위원회 (PITAC, President’s Information Technology Advisory Committee)가 대통령에게 2005년 6월에 제출한 보고서로, 그 동안 미국이 과학이나 공학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했던 리더로서의 역할이 최근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고, 그 주된 원인이 계산과학(Computational Science) 분야에 대한 인식과 장기적 투자의 미흡,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
자세히 보기2005-09-06 최중민(joongmin)-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연구개발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연구개발
문서암호 : www.kosen21.org1. 분석자 서문이 보고서는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제반 사항 (연구, 개발, 정책등)에 관한 기본적인 연구를 미국 입장에서 고찰한 것이다. 미국의 주요 정부 기관들 (DoE, NSF, NASA)이 시작한 이 논의들을 WTEC (World Technology Evaluation Center, Inc.)이라는 회사가 대신 수행한 결과물이다.이 보고서를 통해 3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 이루어 졌는데, 첫 번째는 세계에서 가장 ...
자세히 보기2005-05-30 고석범(kosby)- 0
전체 13개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과학기술과 다양성
과학기술과 다양성
다양성은 인종/민족, 성별, 장애 여부, 국적, 종교, 성적 지향,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포함한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2020년 조지 플루이드의 사망 사건 이후 각계각층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과학기술계도 예외가 아니다. 미국의 과학기술계에서는 사회를 이루는 소수자 즉 여성 및 유색인종의 사회 구성 비율에 비해 과학기술에 종사하는 비율이 낮으며, 그 안에서도 인종차별이 있거나 성과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성취가 평가절하되는 ...
자세히 보기- KOSEN
- KOSENReport
- Higher Education
- Diversity
- Research and Development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2023-02-20 이경선(kylee414)- 2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지역 과학기술 역량 진단 동향
지역 과학기술 역량 진단 동향
전 세계적으로 지역 경제의 개발을 위해 지역의 과학기술 및 혁신이 중요해지고 있다. 각국에서는 이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여 지역 과학기술 혁신 현황을 확인하고, 향후 관련 정책 추진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각국의 지역 과학기술 혁신 관련 지표를 정리해보고, 최근 성과를 토대로 각국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 조사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먼저 한국의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COSTII: Regional COmposite Scie...
자세히 보기- innovation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research policy
- innovation policy
-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2020-11-11 이경선(kylee414)-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정책 현황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정책 현황
20020년 6월, 일본 문부과학성은 2020년 과학기술백서(이하 백서)를 발표하였다.[1] 매년 발행하는 과학기술백서는 일본의 과학기술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고 있다. 2020년 백서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상 및 2040년 미래사회 청사진을 중점에 두고 이를 고려한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 추진 현황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일본의 과학기술정책은 2016년부터 실시된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따르고 있다.[2] 일본의 과학기술기본...
자세히 보기- Japan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research policy
- innovation policy
- science and technology white paper
2020-09-16 이경선(kylee414)-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과학기술 혁신 현황
일본의 과학기술 혁신 현황
1. 서론 2020년 5월 일본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오픈 이노베이션 벤처창조협의회(JOIC)와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 제3판’을 발표하였다.[1]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이하 백서)는 일본의 일본 이노베이션 창출 현황 및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미 2016년 초판이, 2018년 제2판이 발행되었다. 이번 백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역사를 정리하고, 국제 및 일본 국내시장의 발생 요인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자세히 보기2020-08-14 이경선(kylee414)- 0
-
기계
New Space 국내외 우주개발 동향과 전망
New Space 국내외 우주개발 동향과 전망
1. New Space: “새롭게 등장하는” 상업 우주산업 1.1. New Space의 정의 New Space는 일종의 기업 활동 관련 조류 혹은 철학을 의미하는 것이며, 민간 우주산업의 강화 즉 상대적으로 새로운 우주 기업의 활동 양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우주 또는 우주비행에서의 저비용 개발을 추구하는 기술 및 정책 경향을 말한다. 따라서 새로운 우주 프런티어를 개척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가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1]. 표...
자세히 보기2019-11-25 김종범(jbkimjbkim)-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제목 : OECD 과학기술정책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 1.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회의결과 가. 회의 개요 ○ 회의명: The 89th Session, Committe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일시 및 장소: 2007.3.36-27 / 프랑스 파리 ○ 참석자: 과기부 최광연 과장, 정건영 사무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태영 박사, 주OECD태표부 이경희 과학관 나. 핵심 내용 ○ 2007년 5월 각료급 이사회 회의에...
자세히 보기2008-04-10 이경희()-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2007/05)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2007/05)
선진국 R&D 정책동향 조사 1. Sloan Industry Studies Annual Conference 2007 ○ 개최 일시 : April 25 ? 27 ○ 개최 장소 : 보스턴 하이야트 호텔 ○ 개요 : Sloan Industry Studies Annual Conference는 Alfred P. Sloan 재단 (www.sloan.org)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술대회로 산업연구 및 정책 (Industry studies & policy) 관련 논문들이 발표...
자세히 보기2007-06-29 한선화(shhahn)-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의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분석
일본의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분석
1. 분석자 서문 일본은 과학기술창조입국을 목표로 1995년 과학기술기본법을 수립하면서, 과학기술진흥을 일본의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삼고, 관련 정책을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1기 과학기술기본계획(1996-2000) 수립을 시작으로 올해의 제3기 기본계획(2006-2010)까지 3기에 걸쳐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 오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1년 과학기술기본법 수립 후 현재 1차 기본계획(2003-2007)을 시행 중이며, ...
자세히 보기2006-12-13 강현규(babobabo)-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경쟁력 확보에 있어 계산과학의 역할- 미국
경쟁력 확보에 있어 계산과학의 역할- 미국
문서암호 : www.kosen21.org1. 분석자 서문이 문서는 미국의 대통령 정보기술 자문위원회 (PITAC, President’s Information Technology Advisory Committee)가 대통령에게 2005년 6월에 제출한 보고서로, 그 동안 미국이 과학이나 공학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했던 리더로서의 역할이 최근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고, 그 주된 원인이 계산과학(Computational Science) 분야에 대한 인식과 장기적 투자의 미흡,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
자세히 보기2005-09-06 최중민(joongmin)- 0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연구개발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연구개발
문서암호 : www.kosen21.org1. 분석자 서문이 보고서는 일본에서의 high-end computing에 관한 제반 사항 (연구, 개발, 정책등)에 관한 기본적인 연구를 미국 입장에서 고찰한 것이다. 미국의 주요 정부 기관들 (DoE, NSF, NASA)이 시작한 이 논의들을 WTEC (World Technology Evaluation Center, Inc.)이라는 회사가 대신 수행한 결과물이다.이 보고서를 통해 3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 이루어 졌는데, 첫 번째는 세계에서 가장 ...
자세히 보기2005-05-30 고석범(kosby)-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