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센리포트

코센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원하시는 주제는 '주제신청' 게시판에, 보고서 작성을 원하시는 분은 '작성신청' 게시판에서 참여해주세요.

  • 기계

    배송 드론의 최근 개발 동향

    배송 드론의 최근 개발 동향

    2010년대 중반 드론이 새로운 기술의 총아로 발돋움하던 시기를 지나 요새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가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드론형 유인항공기를 이용해 2명에서 7명 정도의 사람이나 이와 비슷한 분량의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존의 공항을 이용하지 않고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연결하는 시범 사업에 대한 이야기가 국내에서도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최신 IT 트렌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으로 유명한 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인 가트너의 보고서들을 살펴보면 2015년부터 미래 유망...

    자세히 보기
    2022-11-29 강수철(duetto)

  • 건설/교통

    보다 빨리 보다 많이 - 무인 배달 시스템

    보다 빨리 보다 많이 - 무인 배달 시스템

    지난 20년간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은 온라인 쇼핑이라 할 수 있다.  직접 상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스크린을 통해 물건을 보고 버튼 하나로 주문을 하고 집에 앉아 물건을 받는 시스템은 가히 혁신적이였다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시스템은 24시간 가동되며 365일 휴일도 없이 어디를 가든 장소에 구애없이 원하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단순히 소비자 측면에서 보는 소비의 편리성 뿐 아니라 24시간 365일 문 닫지 않는 상점으로 존재하면서 소비자의 끊임없는 소비...

    자세히 보기
    2022-09-23 이선화(lshko)

  • 보건의료

    펩타이드 의약품 연구와 시장동향

    펩타이드 의약품 연구와 시장동향

    최근, 생명공학과 의학 기술의 큰 발전으로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펩타이드 단백질의 대량생산과 정제 및 임상시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지금은 면역 강화, 빈혈 치료 및 호르몬계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암을 치료하는 영역까지 펩타이드를 이용하고 있다. 신체를 구성하기도 하는 여러 단백질 중에서 특정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어 치료제로 개발된 펩타이드 의약품은 단백질 전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며, 생산 및 체내에서의 조절이 가능하고, 투여 횟수를 줄여 환...

    자세히 보기
    2021-10-25 추헌수(c1021)

  • 보건의료

    다양한 약물전달체로서 나노겔(nanogel)의 활용연구 동향

    다양한 약물전달체로서 나노겔(nanogel)의 활용연구 동향

    생리활성 약제들을 위치-특정적으로, 또한 시간 조절이 가능하게 전달할 수 있어, 최근 나노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래 표 1에서 보듯이 세계적으로 이에 관한 특허는 증가 추세이다. 나노 크기는 약물전달에 매우 유리한 점이 많다. 특히 소수성 약제들의 용해를 개선하여 종양에 약제의 축적을 증가시키고, 독성 부작용을 절감하는 반면 약제의 화학적 및 효소적 분해를 막는다. 고분자 미셀, 리포솜 및 졸-겔 등 여러 타입의 나노-전달 시스템이 보고되고 있다[1, 2]. 나노겔이 발견된 후 약학 및 의...

    자세히 보기

  • 화공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의 바이오메디컬 분야 응용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의 바이오메디컬 분야 응용

    최근, 바이오메디컬 용도에 있어서 고분자 나노파이버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예를 들어 고분자 나노파이버 부직포를 세포 지지체 재료에 응용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세포의 증식이나 분화·유도에 적합한 재료 표면의 미세구조는 기존 기술로 대응할 수 없으며, 또 세포의 분화에 필요한 성장인자의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기능을 기존의 지지체 재료에 탑재하는 기술도 한정되기 때문이다. 셀룰로오스는 폴리머쇄 간에 강고한 수소...

    자세히 보기
    2020-11-11 권오경(ok55)

  • 생명과학

    암 치료를 위한 나노의약품의 최신 연구 동향

    암 치료를 위한 나노의약품의 최신 연구 동향

    1. 개요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1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비해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기존에 개발된 약물을 기반으로 하여 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분자를 활용하여 개발된 약물전달용 나노의약품은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효율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약물을 생체 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나노의약품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나노의약품의 최신 개발 및 연구 동향을 살...

    자세히 보기

  • 전기/전자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기술 동향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기술 동향

    1. 서론 초미세로봇이 혈관 속으로 침투해 손상된 세포를 복원하고, 미세축소된 특공대원들이 작은 잠수함을 타고 몸속에 들어가 질병을 치료한다. 공상과학 영화 혹은 소설 속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장면이다[1~3]. 그리고 상상 속에서만 존재할 것 같은 일들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초미세로봇은 석유, 가스 파이프라인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인체 혈류를 통해 떠다니면서 병소나 손상 부위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마이크로로봇은 크기가 밀리미터에서 나노...

    자세히 보기
    2020-07-30 이동진(voinarim)

  • 화학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siRNA의 세포 내 전달에 대한 연구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siRNA의 세포 내 전달에 대한 연구

    1. 서론 세포막은 세포질 영역과 세포 외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해줄 뿐만 아니라 세포의 삼투압 균형, 세포의 항상성 및 세포의 흡수 활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막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있어 무분별한 약물, 핵산, 펩타이드 및 단백질이 세포로 유입되는 것을 저해하는 세포의 방어적 역할을 한다. 짧은 간섭 리보핵산이라고 불리는 siRNA는 mRNA을 표적으로 하여 결합한 후 mRNA을 분해하거나 활성을 방해할 수 있어서 유전자치료에서 약제로서의 사용이 유망하다. 그...

    자세히 보기
    2020-07-02 임정균(jkim5279)

  • 화공

    약물전달을 위한 고분자-약물 접합체(Polymer-drug conjugate) 치료제의 발전 및 전망

    약물전달을 위한 고분자-약물 접합체(Polymer-drug conjugate) 치료제의 발전 및 전망

    1. 개요 약물 전달 분야에서 고분자-약물 접합체는 오랜 시간 다양하게 연구되어왔으며, 실제로 몇몇 접합체는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보인 바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PEG)과 같은 고분자-약물 접합체 치료제는 여러 연구에서 약물 solubilization의 향상, 체내 순환의 연장, 면역원성의 감소, 제어가 가능한 약물 방출, 안정성의 향상 등과 같은 여러 장점이 보고된 바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고분자-약물 접합체란 무엇이며, 고분자 접합을 통해 얻을 ...

    자세히 보기
    2020-06-29 김은혜(hyeppy)

  • 보건의료

    경구용 생물의약품의 개발동향

    경구용 생물의약품의 개발동향

    1. 서론 1982년에 미국 FDA가 인간 재조합 인슐린을 생물치료제로 허가한 후 생물의약 치료가 빠르게 발전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62개 품목이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다[1]. 생물치료의 지대한 관심은 크고 복잡한 분자로서 분자 내 여러 곳에 서열 조절이 가능하여 많은 유도체들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분자구조의 다양성은 저분자 약제보다 특정성이 높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2]. 그러나 큰 크기 (단일클론항체의 경우 150kDa) 및 정교한 구조 때문에 경구...

    자세히 보기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마지막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마지막

전체 280개

  • 기계

    배송 드론의 최근 개발 동향

    배송 드론의 최근 개발 동향

    2010년대 중반 드론이 새로운 기술의 총아로 발돋움하던 시기를 지나 요새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가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드론형 유인항공기를 이용해 2명에서 7명 정도의 사람이나 이와 비슷한 분량의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존의 공항을 이용하지 않고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연결하는 시범 사업에 대한 이야기가 국내에서도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최신 IT 트렌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으로 유명한 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인 가트너의 보고서들을 살펴보면 2015년부터 미래 유망...

    자세히 보기
    2022-11-29 강수철(duetto)

  • 건설/교통

    보다 빨리 보다 많이 - 무인 배달 시스템

    보다 빨리 보다 많이 - 무인 배달 시스템

    지난 20년간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은 온라인 쇼핑이라 할 수 있다.  직접 상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스크린을 통해 물건을 보고 버튼 하나로 주문을 하고 집에 앉아 물건을 받는 시스템은 가히 혁신적이였다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시스템은 24시간 가동되며 365일 휴일도 없이 어디를 가든 장소에 구애없이 원하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단순히 소비자 측면에서 보는 소비의 편리성 뿐 아니라 24시간 365일 문 닫지 않는 상점으로 존재하면서 소비자의 끊임없는 소비...

    자세히 보기
    2022-09-23 이선화(lshko)

  • 보건의료

    펩타이드 의약품 연구와 시장동향

    펩타이드 의약품 연구와 시장동향

    최근, 생명공학과 의학 기술의 큰 발전으로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펩타이드 단백질의 대량생산과 정제 및 임상시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지금은 면역 강화, 빈혈 치료 및 호르몬계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암을 치료하는 영역까지 펩타이드를 이용하고 있다. 신체를 구성하기도 하는 여러 단백질 중에서 특정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어 치료제로 개발된 펩타이드 의약품은 단백질 전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며, 생산 및 체내에서의 조절이 가능하고, 투여 횟수를 줄여 환...

    자세히 보기
    2021-10-25 추헌수(c1021)

  • 보건의료

    다양한 약물전달체로서 나노겔(nanogel)의 활용연구 동향

    다양한 약물전달체로서 나노겔(nanogel)의 활용연구 동향

    생리활성 약제들을 위치-특정적으로, 또한 시간 조절이 가능하게 전달할 수 있어, 최근 나노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래 표 1에서 보듯이 세계적으로 이에 관한 특허는 증가 추세이다. 나노 크기는 약물전달에 매우 유리한 점이 많다. 특히 소수성 약제들의 용해를 개선하여 종양에 약제의 축적을 증가시키고, 독성 부작용을 절감하는 반면 약제의 화학적 및 효소적 분해를 막는다. 고분자 미셀, 리포솜 및 졸-겔 등 여러 타입의 나노-전달 시스템이 보고되고 있다[1, 2]. 나노겔이 발견된 후 약학 및 의...

    자세히 보기

  • 화공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의 바이오메디컬 분야 응용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의 바이오메디컬 분야 응용

    최근, 바이오메디컬 용도에 있어서 고분자 나노파이버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예를 들어 고분자 나노파이버 부직포를 세포 지지체 재료에 응용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세포의 증식이나 분화·유도에 적합한 재료 표면의 미세구조는 기존 기술로 대응할 수 없으며, 또 세포의 분화에 필요한 성장인자의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기능을 기존의 지지체 재료에 탑재하는 기술도 한정되기 때문이다. 셀룰로오스는 폴리머쇄 간에 강고한 수소...

    자세히 보기
    2020-11-11 권오경(ok55)

  • 생명과학

    암 치료를 위한 나노의약품의 최신 연구 동향

    암 치료를 위한 나노의약품의 최신 연구 동향

    1. 개요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1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비해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기존에 개발된 약물을 기반으로 하여 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분자를 활용하여 개발된 약물전달용 나노의약품은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효율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약물을 생체 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나노의약품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나노의약품의 최신 개발 및 연구 동향을 살...

    자세히 보기

  • 전기/전자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기술 동향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기술 동향

    1. 서론 초미세로봇이 혈관 속으로 침투해 손상된 세포를 복원하고, 미세축소된 특공대원들이 작은 잠수함을 타고 몸속에 들어가 질병을 치료한다. 공상과학 영화 혹은 소설 속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장면이다[1~3]. 그리고 상상 속에서만 존재할 것 같은 일들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초미세로봇은 석유, 가스 파이프라인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인체 혈류를 통해 떠다니면서 병소나 손상 부위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마이크로로봇은 크기가 밀리미터에서 나노...

    자세히 보기
    2020-07-30 이동진(voinarim)

  • 화학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siRNA의 세포 내 전달에 대한 연구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siRNA의 세포 내 전달에 대한 연구

    1. 서론 세포막은 세포질 영역과 세포 외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해줄 뿐만 아니라 세포의 삼투압 균형, 세포의 항상성 및 세포의 흡수 활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막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있어 무분별한 약물, 핵산, 펩타이드 및 단백질이 세포로 유입되는 것을 저해하는 세포의 방어적 역할을 한다. 짧은 간섭 리보핵산이라고 불리는 siRNA는 mRNA을 표적으로 하여 결합한 후 mRNA을 분해하거나 활성을 방해할 수 있어서 유전자치료에서 약제로서의 사용이 유망하다. 그...

    자세히 보기
    2020-07-02 임정균(jkim5279)

  • 화공

    약물전달을 위한 고분자-약물 접합체(Polymer-drug conjugate) 치료제의 발전 및 전망

    약물전달을 위한 고분자-약물 접합체(Polymer-drug conjugate) 치료제의 발전 및 전망

    1. 개요 약물 전달 분야에서 고분자-약물 접합체는 오랜 시간 다양하게 연구되어왔으며, 실제로 몇몇 접합체는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보인 바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PEG)과 같은 고분자-약물 접합체 치료제는 여러 연구에서 약물 solubilization의 향상, 체내 순환의 연장, 면역원성의 감소, 제어가 가능한 약물 방출, 안정성의 향상 등과 같은 여러 장점이 보고된 바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고분자-약물 접합체란 무엇이며, 고분자 접합을 통해 얻을 ...

    자세히 보기
    2020-06-29 김은혜(hyeppy)

  • 보건의료

    경구용 생물의약품의 개발동향

    경구용 생물의약품의 개발동향

    1. 서론 1982년에 미국 FDA가 인간 재조합 인슐린을 생물치료제로 허가한 후 생물의약 치료가 빠르게 발전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62개 품목이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다[1]. 생물치료의 지대한 관심은 크고 복잡한 분자로서 분자 내 여러 곳에 서열 조절이 가능하여 많은 유도체들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분자구조의 다양성은 저분자 약제보다 특정성이 높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2]. 그러나 큰 크기 (단일클론항체의 경우 150kDa) 및 정교한 구조 때문에 경구...

    자세히 보기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마지막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