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
비만 바이오마커
비만 바이오마커
21세기 세계적인 공중보건을 위협하며 부상하고 있는 비만의 대유행은 가장 취약하고 사회적으로 불리한 인구 집단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1]. 비만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비만 유병률은 1975년 이후 거의 3배나 증가하여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인구의 40%인 19억 명이 과체중이었고 이 중 6억 5,000만 명이 비만으로 판명되었다[1].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비...
자세히 보기2022-09-01 윤창호(changhovirus)- 1
-
생명과학
후성유전학을 위한 염기서열분석
후성유전학을 위한 염기서열분석
다세포생물의 세포는 유전적으로는 균질하지만 유전자의 발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보인다. 표현형 형질의 멘델식 유전은 DNA 서열의 돌연변이로 인한 대립유전자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암컷 포유류의 초기 배아 발달 중 X염색체 비활성화, 파리의 염색체 각인과 같은 다른 유전 현상은 멘델식 유전이 아닌 다른 유전 패턴을 나타낸다. Conrad Waddington은 표현형을 존재하게 하는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후성...
자세히 보기2022-04-20 윤창호(changhovirus)- 2
-
보건의료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
1. 서론 유전체학(genomics)과 대사체학(metabolomics) 등을 포함한 다중 오믹스(omics) 기술의 진보로 인하여 질병 치료 및 예방에 있어 개인의 다양성을 고려한 개인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이라 일컫는 새로운 학문 분야의 시대를 열고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 관련된 기술의 개발 및 의학에서의 적용과 함께 연구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에서 규정한 정의에 따르면, 맞춤의학이란 ‘특정 질병에 대한...
자세히 보기2019-09-05 이상후(sprout30)- 1
-
의생명과학
암 환자 곁으로 다가온 액체생검
암 환자 곁으로 다가온 액체생검
1.분석자 서문 Circulating Tumor DNA(ctDNA)는 암의 진단과 모니터링을 위해 액체생검(Liquid Biopsy)을 통해 얻어지며, 조직생검(Tissue Biopsy)의 잠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급격히 떠오르고 있는 분야이다. 유전자변형을 토대로 한 암 치료에 있어, Gold Standard로 사용되는 조직생검과 80% 이상의 일치도를 통해 액체생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암 환자의 혈액에서 얻어진 ctDNA의 시퀀싱을 통해 조기진단, 예후 예측,...
자세히 보기2018-01-04 이훈석(qjrmaks)- 0
-
융합바이오
멀티오믹스와 질병
멀티오믹스와 질병
1.분석자 서문 생물학 분야에서의 대용량 고속 기술 발전은 의료 연구 분야에 엄청난 변혁을 야기하고 있다. 유전형 분석 어레이의 출현은 큰 규모의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GWAS)와 전사체 연구를 통해 통합적 유전학을 출범시켰으며, 단백질체학과 대사체학은 다양한 생물학 연구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생명체의 생리학적 정보는 유전체로 시작하여 전사체와 단백질체를 통해 대사체가 생산되고 표현형이 나타나기 때문에 각 단계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
자세히 보기2017-11-29 김용규(outbig106)- 1
-
유전학/유전공학
Hi-C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 모음
Hi-C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 모음
1. 분석자서문 DNA의 3 차원적(3D) 구성을 측정하는 하이 스루풋(High-throughput) 분석법은 DNA의 3D 구성과 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전례없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ChIA-PET 및 Hi-C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데이터는 데이터가 크고 표준 게놈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없으므로 그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효과적인 Hi-C 시각화 도구는 여러 가지 시각화 모드를 제공하고, 기존 보완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전문...
자세히 보기2017-07-25 박인현(inhyun.park)- 0
-
면역학/생리학
근원이 다른 가족인 miR-146a/b
근원이 다른 가족인 miR-146a/b
1. 분석자서문 마이크로 RNA(microRNA, 마이크로 RNA)는 약 18~22개의 핵산(nucleotide)로 이루어진 non-codingRNA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 miR-146 계열의 마이크로 RNA는 MIR-146A와 MIR-146B의 두 가지 유전자로 구성된다. 이 두 마이크로 RNA는 다른 염색체에 위치하며 다른 조절 기전을 통해 발현한다. 그러나 이들은 서열이 거의 동일한 seed 영역을 공유하므로 동일한 유전자 세트를 표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
자세히 보기2017-05-15 이혜미(lemonmiya)- 0
-
의생명과학
저체중아의 심장 적응을 매개하는 Akt 신호전달경로
저체중아의 심장 적응을 매개하는 Akt 신호전달경로
1. 분석자서문 영양부족 혹은 태반 기능부전과 같은 자궁 내 손상은 심장 발달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는 심장 건강에 있어 장기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저체중아는 어른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으로 말미암아 사망할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자궁내성장제한은 좌심실 비대증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데, 좌심실 비대증은 심장병 환자에게 있어서 건강이 얼마나 악화되었는지 예견해줄 수 있는 강력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관관계에 관련 있는 기작은 명확히 ...
자세히 보기2017-05-08 신현길(gil)- 0
-
보건의료
암의 진단 및 치료 동향: 정복이 아닌 이해를 향하여
암의 진단 및 치료 동향: 정복이 아닌 이해를 향하여
#3월 우수전문가 동향보고서(KOSEN Expert Insight)# 이 자료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에 계신 이승준박사님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1. 암은 정복의 대상인가? 베이스 바리톤 토마스 크바스토프의 연주를 들으면 그 묵직하고 깊은 음색이 전해주는 울림과 함께, 수면유도 및 입덧완화 치료제인 탈리도마이드 부작용[해표지증(phocomelia): 사지가 짧은 선천성 기형]으로 태어나 성악가로 성장하기까지 그의 노력과 가족의 헌신적 사랑에 대한 이야기...
자세히 보기2017-04-20 이승준(fovero)- 1
-
분자세포 생물학
초파리의 알코올 반응에 대한 유전학적, 유전체학적 연구
초파리의 알코올 반응에 대한 유전학적, 유전체학적 연구
1. 분석자서문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독주로 분류되는 증류주 소비량이 상위권에 속하고, 잦은 회식 문화, 폭탄주 문화 등으로 술과는 떼려야 뗄 수가 없는 국가이다. 건전한 알코올 소비는 나쁘다고 볼 수만은 없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알코올중독자 수가 200만 명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알코올의 긍정적 효과만을 강조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알코올중독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인 연구와 알코올성 질환에 대한 임상 연구는 많이 진행이 되고 있지만 알코올 반응에 대한 분자적 기전은 아직까지 많이 ...
자세히 보기2017-04-14 김영일(sansgene)- 0
전체 120개
-
생명과학
비만 바이오마커
비만 바이오마커
21세기 세계적인 공중보건을 위협하며 부상하고 있는 비만의 대유행은 가장 취약하고 사회적으로 불리한 인구 집단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1]. 비만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비만 유병률은 1975년 이후 거의 3배나 증가하여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인구의 40%인 19억 명이 과체중이었고 이 중 6억 5,000만 명이 비만으로 판명되었다[1].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비...
자세히 보기2022-09-01 윤창호(changhovirus)- 1
-
생명과학
후성유전학을 위한 염기서열분석
후성유전학을 위한 염기서열분석
다세포생물의 세포는 유전적으로는 균질하지만 유전자의 발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보인다. 표현형 형질의 멘델식 유전은 DNA 서열의 돌연변이로 인한 대립유전자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암컷 포유류의 초기 배아 발달 중 X염색체 비활성화, 파리의 염색체 각인과 같은 다른 유전 현상은 멘델식 유전이 아닌 다른 유전 패턴을 나타낸다. Conrad Waddington은 표현형을 존재하게 하는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후성...
자세히 보기2022-04-20 윤창호(changhovirus)- 2
-
보건의료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
1. 서론 유전체학(genomics)과 대사체학(metabolomics) 등을 포함한 다중 오믹스(omics) 기술의 진보로 인하여 질병 치료 및 예방에 있어 개인의 다양성을 고려한 개인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이라 일컫는 새로운 학문 분야의 시대를 열고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 관련된 기술의 개발 및 의학에서의 적용과 함께 연구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에서 규정한 정의에 따르면, 맞춤의학이란 ‘특정 질병에 대한...
자세히 보기2019-09-05 이상후(sprout30)- 1
-
의생명과학
암 환자 곁으로 다가온 액체생검
암 환자 곁으로 다가온 액체생검
1.분석자 서문 Circulating Tumor DNA(ctDNA)는 암의 진단과 모니터링을 위해 액체생검(Liquid Biopsy)을 통해 얻어지며, 조직생검(Tissue Biopsy)의 잠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급격히 떠오르고 있는 분야이다. 유전자변형을 토대로 한 암 치료에 있어, Gold Standard로 사용되는 조직생검과 80% 이상의 일치도를 통해 액체생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암 환자의 혈액에서 얻어진 ctDNA의 시퀀싱을 통해 조기진단, 예후 예측,...
자세히 보기2018-01-04 이훈석(qjrmaks)- 0
-
융합바이오
멀티오믹스와 질병
멀티오믹스와 질병
1.분석자 서문 생물학 분야에서의 대용량 고속 기술 발전은 의료 연구 분야에 엄청난 변혁을 야기하고 있다. 유전형 분석 어레이의 출현은 큰 규모의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GWAS)와 전사체 연구를 통해 통합적 유전학을 출범시켰으며, 단백질체학과 대사체학은 다양한 생물학 연구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생명체의 생리학적 정보는 유전체로 시작하여 전사체와 단백질체를 통해 대사체가 생산되고 표현형이 나타나기 때문에 각 단계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
자세히 보기2017-11-29 김용규(outbig106)- 1
-
유전학/유전공학
Hi-C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 모음
Hi-C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 모음
1. 분석자서문 DNA의 3 차원적(3D) 구성을 측정하는 하이 스루풋(High-throughput) 분석법은 DNA의 3D 구성과 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전례없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ChIA-PET 및 Hi-C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데이터는 데이터가 크고 표준 게놈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없으므로 그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효과적인 Hi-C 시각화 도구는 여러 가지 시각화 모드를 제공하고, 기존 보완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전문...
자세히 보기2017-07-25 박인현(inhyun.park)- 0
-
면역학/생리학
근원이 다른 가족인 miR-146a/b
근원이 다른 가족인 miR-146a/b
1. 분석자서문 마이크로 RNA(microRNA, 마이크로 RNA)는 약 18~22개의 핵산(nucleotide)로 이루어진 non-codingRNA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 miR-146 계열의 마이크로 RNA는 MIR-146A와 MIR-146B의 두 가지 유전자로 구성된다. 이 두 마이크로 RNA는 다른 염색체에 위치하며 다른 조절 기전을 통해 발현한다. 그러나 이들은 서열이 거의 동일한 seed 영역을 공유하므로 동일한 유전자 세트를 표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
자세히 보기2017-05-15 이혜미(lemonmiya)- 0
-
의생명과학
저체중아의 심장 적응을 매개하는 Akt 신호전달경로
저체중아의 심장 적응을 매개하는 Akt 신호전달경로
1. 분석자서문 영양부족 혹은 태반 기능부전과 같은 자궁 내 손상은 심장 발달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는 심장 건강에 있어 장기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저체중아는 어른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으로 말미암아 사망할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자궁내성장제한은 좌심실 비대증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데, 좌심실 비대증은 심장병 환자에게 있어서 건강이 얼마나 악화되었는지 예견해줄 수 있는 강력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관관계에 관련 있는 기작은 명확히 ...
자세히 보기2017-05-08 신현길(gil)- 0
-
보건의료
암의 진단 및 치료 동향: 정복이 아닌 이해를 향하여
암의 진단 및 치료 동향: 정복이 아닌 이해를 향하여
#3월 우수전문가 동향보고서(KOSEN Expert Insight)# 이 자료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에 계신 이승준박사님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1. 암은 정복의 대상인가? 베이스 바리톤 토마스 크바스토프의 연주를 들으면 그 묵직하고 깊은 음색이 전해주는 울림과 함께, 수면유도 및 입덧완화 치료제인 탈리도마이드 부작용[해표지증(phocomelia): 사지가 짧은 선천성 기형]으로 태어나 성악가로 성장하기까지 그의 노력과 가족의 헌신적 사랑에 대한 이야기...
자세히 보기2017-04-20 이승준(fovero)- 1
-
분자세포 생물학
초파리의 알코올 반응에 대한 유전학적, 유전체학적 연구
초파리의 알코올 반응에 대한 유전학적, 유전체학적 연구
1. 분석자서문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독주로 분류되는 증류주 소비량이 상위권에 속하고, 잦은 회식 문화, 폭탄주 문화 등으로 술과는 떼려야 뗄 수가 없는 국가이다. 건전한 알코올 소비는 나쁘다고 볼 수만은 없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알코올중독자 수가 200만 명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알코올의 긍정적 효과만을 강조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알코올중독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인 연구와 알코올성 질환에 대한 임상 연구는 많이 진행이 되고 있지만 알코올 반응에 대한 분자적 기전은 아직까지 많이 ...
자세히 보기2017-04-14 김영일(sansge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