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센리포트

코센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원하시는 주제는 '주제신청' 게시판에, 보고서 작성을 원하시는 분은 '작성신청' 게시판에서 참여해주세요.

  •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

  • 보건의료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Obesity)은 전 세계 인구 8명 중에서 1명이 체질량지수(BMI)가 35 kg/m2 이상일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심지어 대사성질환의 글로벌 팬데믹으로 불릴 만큼 주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기준으로 약 6억 5,000만 명 이상(전 세계 인구의 13%)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10억 9,000만 명(전 세계 인구의 39%)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질병성 비만은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이 최소한...

    자세히 보기
    2022-04-13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질환에 대한 시스템생물학적 연구 동향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질환에 대한 시스템생물학적 연구 동향

    1. 서론 Syndrome X라 불리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저HDL-cholesterol 및 고중성지방) 및 고혈압을 포함하면서 내장지방이 증가되면서 유발되는 복잡한 cardio-metabolic 질환이다.[1] 이런 이유로 임상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조기진단 및 치료, 더 나아가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MetS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의 복합체이므로 MetS를 보이는 사람은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

    자세히 보기
    2020-04-16 이상후(sprout30)

  • 생명과학

    지방세포의 역분화

    지방세포의 역분화

    1. 개요 지방조직(adipose tissue)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조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leptin이나 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여러 호르몬과 성장인자, 사이토카인(cytokines)을 분비하는 내분비계(endocrine) 조직으로서 몸 전체의 에너지 항상성(homeostasis)을 조절하는 기능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adipocyte)는 최종적으로 분화가 완료된 세포라 생각돼왔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

    자세히 보기
    2018-12-10 장현준(hjang)

  • 의생명과학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로서의 비만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로서의 비만

    1.분석자 서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오늘날 북미에서 여섯 번째 주요 사망 원인으로, AD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공중보건 사업 및 임상 전략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AD가 개인, 가족, 사회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AD 고위험군을 진단하여 공중보건 예방 전략 또는 근본적인 병리에 의거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없다. 본 분석물에서는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혈관성 합병증...

    자세히 보기
    2017-11-27 김혜은(hyessi)

  • 분자세포 생물학

    대사 및 간질환의 연관성이 있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대사 및 간질환의 연관성이 있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1.분석자 서문 NAFLD(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는 간의 인슐린(insulin)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의 디아실글리세롤(diacylglycerol) 축적은 인슐린 수용체 활성화를 방해하고 인슐린 자극된 글리코겐(glycogen) 합성을 손상시키는 PKC-ε를 활성화시킨다. 말초 인슐린 저항성은 지방산 합성(lipogenesis)을 촉진시키는 포도당(glucose)과 지방산(fatty acid), 포도당신생합성(g...

    자세히 보기

  • 생명과학

    신진대사 조절에서 장-두뇌 크로스 토크

    신진대사 조절에서 장-두뇌 크로스 토크

    1. 분석자서문 인간 에너지대사는 마름(leanness)보다는 비만(adiposity)을 선호하는 쪽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맛있고 손쉽게 고칼로리 농축 식품을 얻을 수 있는 현대 식품 산업의 발달은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수준의 비만 및 이와 관련된 대사성 공동 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에너지 항상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달되는 뇌와 장 시스템 사이의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비만 치료 수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분자 메커니즘에 관하여 상당한 진보를 얻게 되었다...

    자세히 보기
    2017-05-02 김혜은(hyessi)

  • 뇌신경생물

    갈색지방의 발열에서 시상하부의 조절

    갈색지방의 발열에서 시상하부의 조절

    1. 분석자 서문 많은 동물실험을 통해 갈색지방(brown adipose tissue)의 발열(thermogenesis) 작용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중추신경계는 여러 자극을 통합하여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를 통해 갈색지방의 활성을 조절하게 된다. 에너지 변화와 같은 여러 요인은 교감신경계를 통한 갈색지방의 활성을 조절하게 되고 이는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고 있는 뇌의 각 영역에 존재하는 다...

    자세히 보기
    2016-04-25 장현준(hjang)

  • 생명과학

    아디포카인과 당뇨 및 동맥경화의 염증성 연관성

    아디포카인과 당뇨 및 동맥경화의 염증성 연관성

    1. 분석자 서문 당뇨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당뇨 환자에 있어 심혈관계 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이다. 염증 반응은 당뇨나 동맥경화와 같은 다양한 만성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만성질환에 항염증성 물질을 처리하면 질병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항염증성 물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는데, 본 분석문에서는 풍부한 아디포카인을 분비하는 지방조직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고 있다. 주로 당뇨 및 동맥경화의 병리생리학에서 항염증성 아디포카인...

    자세히 보기
    2016-01-11 염은섭(yesgood)

  • 생명과학

    체중 감량의 유전학: 맞춤형 비만 조절을 위한 기반

    체중 감량의 유전학: 맞춤형 비만 조절을 위한 기반

    1. 분석자 서문 비만이나 체중 조절과 관련된 영양유전학과 인간 유전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유전자 변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체중 가변성의 25~70%가량이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600개가량 되는 염색체의 영역이 비만 유전력과 관련된다는 보고를 봤을 때, 비만에 유전적인 요인이 관여한다는 오랜 가설이 사실임을 입증하고 있다. 체중 항상성을 조절하는 대사 작용은 신체 활동과 식욕, 비만세포의 분화, 인슐린 작용, 미토콘드리아 기능, 지질 조절, 열 항상성, 열량 효율성과 같은 요소에 의해...

    자세히 보기
    2015-10-05 박민정(mpark33)

1  2 
1  2 
1  2 

전체 19개

  •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

  • 보건의료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Obesity)은 전 세계 인구 8명 중에서 1명이 체질량지수(BMI)가 35 kg/m2 이상일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심지어 대사성질환의 글로벌 팬데믹으로 불릴 만큼 주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기준으로 약 6억 5,000만 명 이상(전 세계 인구의 13%)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10억 9,000만 명(전 세계 인구의 39%)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질병성 비만은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이 최소한...

    자세히 보기
    2022-04-13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질환에 대한 시스템생물학적 연구 동향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질환에 대한 시스템생물학적 연구 동향

    1. 서론 Syndrome X라 불리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저HDL-cholesterol 및 고중성지방) 및 고혈압을 포함하면서 내장지방이 증가되면서 유발되는 복잡한 cardio-metabolic 질환이다.[1] 이런 이유로 임상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조기진단 및 치료, 더 나아가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MetS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의 복합체이므로 MetS를 보이는 사람은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

    자세히 보기
    2020-04-16 이상후(sprout30)

  • 생명과학

    지방세포의 역분화

    지방세포의 역분화

    1. 개요 지방조직(adipose tissue)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조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leptin이나 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여러 호르몬과 성장인자, 사이토카인(cytokines)을 분비하는 내분비계(endocrine) 조직으로서 몸 전체의 에너지 항상성(homeostasis)을 조절하는 기능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adipocyte)는 최종적으로 분화가 완료된 세포라 생각돼왔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

    자세히 보기
    2018-12-10 장현준(hjang)

  • 의생명과학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로서의 비만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로서의 비만

    1.분석자 서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오늘날 북미에서 여섯 번째 주요 사망 원인으로, AD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공중보건 사업 및 임상 전략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AD가 개인, 가족, 사회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AD 고위험군을 진단하여 공중보건 예방 전략 또는 근본적인 병리에 의거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없다. 본 분석물에서는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혈관성 합병증...

    자세히 보기
    2017-11-27 김혜은(hyessi)

  • 분자세포 생물학

    대사 및 간질환의 연관성이 있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대사 및 간질환의 연관성이 있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1.분석자 서문 NAFLD(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는 간의 인슐린(insulin)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의 디아실글리세롤(diacylglycerol) 축적은 인슐린 수용체 활성화를 방해하고 인슐린 자극된 글리코겐(glycogen) 합성을 손상시키는 PKC-ε를 활성화시킨다. 말초 인슐린 저항성은 지방산 합성(lipogenesis)을 촉진시키는 포도당(glucose)과 지방산(fatty acid), 포도당신생합성(g...

    자세히 보기

  • 생명과학

    신진대사 조절에서 장-두뇌 크로스 토크

    신진대사 조절에서 장-두뇌 크로스 토크

    1. 분석자서문 인간 에너지대사는 마름(leanness)보다는 비만(adiposity)을 선호하는 쪽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맛있고 손쉽게 고칼로리 농축 식품을 얻을 수 있는 현대 식품 산업의 발달은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수준의 비만 및 이와 관련된 대사성 공동 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에너지 항상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달되는 뇌와 장 시스템 사이의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비만 치료 수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분자 메커니즘에 관하여 상당한 진보를 얻게 되었다...

    자세히 보기
    2017-05-02 김혜은(hyessi)

  • 뇌신경생물

    갈색지방의 발열에서 시상하부의 조절

    갈색지방의 발열에서 시상하부의 조절

    1. 분석자 서문 많은 동물실험을 통해 갈색지방(brown adipose tissue)의 발열(thermogenesis) 작용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중추신경계는 여러 자극을 통합하여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를 통해 갈색지방의 활성을 조절하게 된다. 에너지 변화와 같은 여러 요인은 교감신경계를 통한 갈색지방의 활성을 조절하게 되고 이는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고 있는 뇌의 각 영역에 존재하는 다...

    자세히 보기
    2016-04-25 장현준(hjang)

  • 생명과학

    아디포카인과 당뇨 및 동맥경화의 염증성 연관성

    아디포카인과 당뇨 및 동맥경화의 염증성 연관성

    1. 분석자 서문 당뇨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당뇨 환자에 있어 심혈관계 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이다. 염증 반응은 당뇨나 동맥경화와 같은 다양한 만성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만성질환에 항염증성 물질을 처리하면 질병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항염증성 물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는데, 본 분석문에서는 풍부한 아디포카인을 분비하는 지방조직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고 있다. 주로 당뇨 및 동맥경화의 병리생리학에서 항염증성 아디포카인...

    자세히 보기
    2016-01-11 염은섭(yesgood)

  • 생명과학

    체중 감량의 유전학: 맞춤형 비만 조절을 위한 기반

    체중 감량의 유전학: 맞춤형 비만 조절을 위한 기반

    1. 분석자 서문 비만이나 체중 조절과 관련된 영양유전학과 인간 유전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유전자 변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체중 가변성의 25~70%가량이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600개가량 되는 염색체의 영역이 비만 유전력과 관련된다는 보고를 봤을 때, 비만에 유전적인 요인이 관여한다는 오랜 가설이 사실임을 입증하고 있다. 체중 항상성을 조절하는 대사 작용은 신체 활동과 식욕, 비만세포의 분화, 인슐린 작용, 미토콘드리아 기능, 지질 조절, 열 항상성, 열량 효율성과 같은 요소에 의해...

    자세히 보기
    2015-10-05 박민정(mpark33)

1  2 
1  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