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팬데믹 이후 교육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팬데믹 이후 교육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교육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에 덜 민감한 산업으로 꼽힌다. 그리고 지난 2~3년간 전 세계에 걸쳐 일어난 팬데믹은 이런 교육산업의 판도를 바꾸어놓았다. 대면 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의 전면적인 전환을 예고했다. 그러나 그 환경 변화에 있어 국내 상황과 해외 대처는 상당히 다른 면을 보인다. 국내에서는 교육 제공업체를 통해 기기(Device)를 구입하고 이를 통해서만 교육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비용 부담이 더해졌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 기반하여 누...
자세히 보기2023-02-16 이선화(lshko)- 4
-
환경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COVID-19으로 인해 각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근무 형태 및 생활 패턴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시행된 “stay-at-home” 명령(재택명령)으로 많은 사무직 근로자들이 재택근무(work from home)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대중교통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으며, 경제활동도 감소하는 등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뒤따랐다. 팬데믹으로 인한 생활 및 근무 형태의 변화는 도시지역의 물 ...
자세히 보기2022-01-17 문철환(highmoon)- 2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2021-10-08 문철환(highmoon)- 2
-
정보/통신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유망 기술 동향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유망 기술 동향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언택트 시대가 시작되고 4차산업이 가속화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자가 기대하는 비대면 사회에 적합한 혁명이 시작되었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면서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은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로 이루어진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이 경영과 결합되면서 디지털 전환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단연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이다. 디지털 ...
자세히 보기2021-08-12 이정률(greatgun)- 1
-
전기/전자
온도계의 개발 및 기술 동향
온도계의 개발 및 기술 동향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질병의 유무 및 진전 상태를 진단하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더욱이 이는 단순히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의 기초대사 상태를 나타내주며, 치료의 필요 여부를 구분 짓는 첫걸음이 된다.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간단하 체온계만으로 가능하고 특별한 기술이나 훈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의료의 시작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체온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노약자나 환자가 있는 경우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된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
자세히 보기2021-08-09 박정원(jeongwon)- 2
-
보건의료
스마트의료 인프라 구축에 대한 동향과 활용 방안
스마트의료 인프라 구축에 대한 동향과 활용 방안
2020년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키워드는 코로나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미친 영향은 단순히 지역적 감염을 넘어 전 세계로 빠르게 전파되었고 높은 감염률과 사망률을 초래하였다. 불과 6개월 사이에 3천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1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망하였다. 이로 인하여 건강뿐 아니라 사회, 경제 그리고 문화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스마트의료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자세히 보기2020-10-29 박정원(jeongwon)- 0
-
보건의료
코로나19 백신 임상실험 동향과 성공적 인가를 위한 고려 사항
코로나19 백신 임상실험 동향과 성공적 인가를 위한 고려 사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2019년에 발생한 후 10여 개월이 지났으나 다수 국가에서 전파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2만여 명의 감염자에서 사망자가 거의 400여 명에 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2,800만여 명의 확진자와 100만여 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였다[1, 2]. 이러한 팬데믹에도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현재, 안전성과 효능이 높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250여 개 백신 제품들이 개발 중이며, 이들 ...
자세히 보기2020-09-25 신영오(yoongoh50)- 0
-
생명과학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COVID-19)는 현재 전 세계 팬데믹을 몰고 온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185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 확진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COVID-19은 여러 수준에서 심혈관계와 상호작용하는데, 기저 심혈관질환이 있고 심근세포의 손상 및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병적 상태를 더 악화시킨다. COVID-19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는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RNA를 가지고 있으며...
자세히 보기2020-09-22 나지훈(moogun81)- 0
-
정보/통신
코로나19 이후 사이버공격 유형 및 대응 방안
코로나19 이후 사이버공격 유형 및 대응 방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이버보안 공격 사례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사태의 이슈와 관련된 피싱 메일 유포로부터 기업 내 네트워크에 불법으로 침입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행위 등과 같이 많은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TERPOL 평가에 의하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이버공격 목표가 개인 및 중소기업에서 주요 기업, 정부 및 중요 인프라로 이동되었으며, 특히, 조직과 기업이 재택근무 직원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
자세히 보기2020-09-16 국경완(kugstone)- 0
전체 19개
-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팬데믹 이후 교육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팬데믹 이후 교육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교육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에 덜 민감한 산업으로 꼽힌다. 그리고 지난 2~3년간 전 세계에 걸쳐 일어난 팬데믹은 이런 교육산업의 판도를 바꾸어놓았다. 대면 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의 전면적인 전환을 예고했다. 그러나 그 환경 변화에 있어 국내 상황과 해외 대처는 상당히 다른 면을 보인다. 국내에서는 교육 제공업체를 통해 기기(Device)를 구입하고 이를 통해서만 교육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비용 부담이 더해졌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 기반하여 누...
자세히 보기2023-02-16 이선화(lshko)- 4
-
환경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COVID-19으로 인해 각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근무 형태 및 생활 패턴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시행된 “stay-at-home” 명령(재택명령)으로 많은 사무직 근로자들이 재택근무(work from home)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대중교통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으며, 경제활동도 감소하는 등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뒤따랐다. 팬데믹으로 인한 생활 및 근무 형태의 변화는 도시지역의 물 ...
자세히 보기2022-01-17 문철환(highmoon)- 2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2021-10-08 문철환(highmoon)- 2
-
정보/통신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유망 기술 동향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유망 기술 동향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언택트 시대가 시작되고 4차산업이 가속화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자가 기대하는 비대면 사회에 적합한 혁명이 시작되었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면서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은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로 이루어진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이 경영과 결합되면서 디지털 전환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단연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이다. 디지털 ...
자세히 보기2021-08-12 이정률(greatgun)- 1
-
전기/전자
온도계의 개발 및 기술 동향
온도계의 개발 및 기술 동향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질병의 유무 및 진전 상태를 진단하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더욱이 이는 단순히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의 기초대사 상태를 나타내주며, 치료의 필요 여부를 구분 짓는 첫걸음이 된다.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간단하 체온계만으로 가능하고 특별한 기술이나 훈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의료의 시작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체온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노약자나 환자가 있는 경우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된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
자세히 보기2021-08-09 박정원(jeongwon)- 2
-
보건의료
스마트의료 인프라 구축에 대한 동향과 활용 방안
스마트의료 인프라 구축에 대한 동향과 활용 방안
2020년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키워드는 코로나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미친 영향은 단순히 지역적 감염을 넘어 전 세계로 빠르게 전파되었고 높은 감염률과 사망률을 초래하였다. 불과 6개월 사이에 3천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1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망하였다. 이로 인하여 건강뿐 아니라 사회, 경제 그리고 문화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스마트의료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자세히 보기2020-10-29 박정원(jeongwon)- 0
-
보건의료
코로나19 백신 임상실험 동향과 성공적 인가를 위한 고려 사항
코로나19 백신 임상실험 동향과 성공적 인가를 위한 고려 사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covid-19)는 2019년에 발생한 후 10여 개월이 지났으나 다수 국가에서 전파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2만여 명의 감염자에서 사망자가 거의 400여 명에 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2,800만여 명의 확진자와 100만여 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였다[1, 2]. 이러한 팬데믹에도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현재, 안전성과 효능이 높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250여 개 백신 제품들이 개발 중이며, 이들 ...
자세히 보기2020-09-25 신영오(yoongoh50)- 0
-
생명과학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COVID-19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COVID-19)는 현재 전 세계 팬데믹을 몰고 온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185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 확진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COVID-19은 여러 수준에서 심혈관계와 상호작용하는데, 기저 심혈관질환이 있고 심근세포의 손상 및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병적 상태를 더 악화시킨다. COVID-19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는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RNA를 가지고 있으며...
자세히 보기2020-09-22 나지훈(moogun81)- 0
-
정보/통신
코로나19 이후 사이버공격 유형 및 대응 방안
코로나19 이후 사이버공격 유형 및 대응 방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이버보안 공격 사례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사태의 이슈와 관련된 피싱 메일 유포로부터 기업 내 네트워크에 불법으로 침입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행위 등과 같이 많은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TERPOL 평가에 의하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이버공격 목표가 개인 및 중소기업에서 주요 기업, 정부 및 중요 인프라로 이동되었으며, 특히, 조직과 기업이 재택근무 직원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
자세히 보기2020-09-16 국경완(kugsto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