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센리포트

코센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원하시는 주제는 '주제신청' 게시판에, 보고서 작성을 원하시는 분은 '작성신청' 게시판에서 참여해주세요.

  • 환경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system)은 중앙집중형 폐수처리 시스템(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인프라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기술로는 정화조와 인공습지 등이 있다. 본 동향 보고서에서는 최근 발표된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관련 연구를 정리하여,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

    자세히 보기
    2023-02-20 이경선(kylee414)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
    2021-10-08 문철환(highmoon)

  • 물관리

    폐수 내 인(P) 회수 기술 최신 동향

    폐수 내 인(P) 회수 기술 최신 동향

    1.분석자 서문 광물에서 채취하는 무기인 비료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폐기물이나 폐수에서 인을 회수하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에 이용하기에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은 Fe나 Al 염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침전시켜 인을 제거하는 공정이지만, 생물 이용이 어려운 잔여물이나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어려움이 있다. 인 회수는 주로 생물학적 고도 인 처리(Enhanced biological phosphorous removal, EBPR) 공정 슬러지에서 Struvite와 Ca-P 결정화가 가능...

    자세히 보기
    2017-11-09 정엠마(emma1102)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전처리: 기술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전처리: 기술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1. 분석자서문 생물학적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하수슬러지 처리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며 메탄가스라는 에너지원을 회수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A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AD는 4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메탄을 생성하는데, 1단계 반응인 가수분해는 단단한 미생물 세포벽을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길어 전체 AD의 반응시간은 가수분해 반응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

    자세히 보기
    2017-08-01 문철환(highmoon)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열가수분해 및 습식산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생산

    열가수분해 및 습식산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생산

    1. 분석자서문 하수슬러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지만 유용한 자원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지난 수십 년 동안 그 가치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열가수분해나 습식산화 같은 유망한 기술이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회수에 이용되어왔다. 열가수분해는 혐기소화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 그리고 습식산화는 가용화와 부분 산화에 이용되는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다당류나 지질, 인화합물의 가용화(열가수분해)나 카르복실산 생산(습식산화)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자료는 이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화학물질...

    자세히 보기
    2017-06-14 이승용(sylee725)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다양한 폐수처리 및 하수슬러지 관리 과정에서 인 회수 방법에 대한 리뷰

    다양한 폐수처리 및 하수슬러지 관리 과정에서 인 회수 방법에 대한 리뷰

    1. 분석자서문 전 세계적으로 인의 매장량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에 인 회수 방법은 과학 및 산업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본 보고서는 하수슬러지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설명된 접근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수슬러지와 침출수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과 하수슬러지 재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이 생태학적, 경제학적 측면 모두에서 더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형 오물 무생성 전략의 개발에 대한 필요는 점점 더 급격하게 증가하고 ...

    자세히 보기
    2017-06-07 신현길(gil)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미량원소 보충에 따른 혐기성 소화 공정 효율에 대한 총론

    미량원소 보충에 따른 혐기성 소화 공정 효율에 대한 총론

    1. 분석자서문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공정 운전 인자(온도, pH, 체류시간, 유기물 부하, 소화조 형태, 기질의 종류)들이 있다. 이러한 운전 요소들에 따라 소화조 내 미생물의 물질대사 조건을 결정하여 바이오가스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소화조 효율 증진을 위한 첨가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량(질소, 인, 황 등) 및 미량(철,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세슘) 영영소, 소각재, 암모니아 저해 완화제, 높은 용량의 바이오매스 기...

    자세히 보기
    2017-05-23 이인규(young428)

  • 환경

    슬러지 전처리의 에너지 효율성 조사: 총론

    슬러지 전처리의 에너지 효율성 조사: 총론

    1. 분석자 서문 하수슬러지에 대한 전처리는 대부분의 실험실 규모 연구에서 바이오가스 생산량 증가를 도출하기 때문에 혐기소화 공정에서 구현되는 높은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평가는 일반적으로 과학적 보고서에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처리 공정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간단히 평가를 함으로써, 다행스럽게도 모든 전처리 기술이 여러 번 연속적으로 에너지 투자를 필요로 하는 WWTP에 에너지 자급자족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세히 보기

  • 환경

    극소량 유기오염물질 제거 기술의 기술 동향

    극소량 유기오염물질 제거 기술의 기술 동향

    1. 분석자 서문 본 분석은 극소량 유기오염물질(trace organic contaminants, TrOCs)의 생성 및 분해 과정, 슬러지 내 축적 조건, 제거 기술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러지 처리 과정인 농축, 안정화, 개량화, 탈수 과정에서 TrOCs의 생성, 분해와 흡착, 생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운전 인자, 즉 pH, 슬러지 체류시간(sludge retention time, SRT), 온도에 대해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1. 개요 2. TrOCs의 생성/분해 ...

    자세히 보기
    2016-03-16 이승용(sylee725)

  • 환경

    처리되지 않거나 처리된 슬러지의 토양 적용 시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의 발생과 환경 위해성에 대한 총론

    처리되지 않거나 처리된 슬러지의 토양 적용 시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의 발생과 환경 위해성에 대한 총론

    1. 분석자 서문 본 총론은 59개의 문헌을 검토하여 169개의 관심 대상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화합물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이 슬러지 및 슬러지가 살포된 토양에서 검출되는 농도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슬러지가 살포된 토양에서의 PPCPs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여 농도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환경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항생제, 호르몬, 진통제, 항염증제 등의 화...

    자세히 보기
    2016-03-11 문철환(highmoon)

1  2  3 
1  2  3 
1  2  3 

전체 24개

  • 환경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system)은 중앙집중형 폐수처리 시스템(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인프라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기술로는 정화조와 인공습지 등이 있다. 본 동향 보고서에서는 최근 발표된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관련 연구를 정리하여,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

    자세히 보기
    2023-02-20 이경선(kylee414)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
    2021-10-08 문철환(highmoon)

  • 물관리

    폐수 내 인(P) 회수 기술 최신 동향

    폐수 내 인(P) 회수 기술 최신 동향

    1.분석자 서문 광물에서 채취하는 무기인 비료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폐기물이나 폐수에서 인을 회수하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에 이용하기에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은 Fe나 Al 염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침전시켜 인을 제거하는 공정이지만, 생물 이용이 어려운 잔여물이나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어려움이 있다. 인 회수는 주로 생물학적 고도 인 처리(Enhanced biological phosphorous removal, EBPR) 공정 슬러지에서 Struvite와 Ca-P 결정화가 가능...

    자세히 보기
    2017-11-09 정엠마(emma1102)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전처리: 기술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전처리: 기술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1. 분석자서문 생물학적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하수슬러지 처리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며 메탄가스라는 에너지원을 회수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A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AD는 4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메탄을 생성하는데, 1단계 반응인 가수분해는 단단한 미생물 세포벽을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길어 전체 AD의 반응시간은 가수분해 반응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

    자세히 보기
    2017-08-01 문철환(highmoon)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열가수분해 및 습식산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생산

    열가수분해 및 습식산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생산

    1. 분석자서문 하수슬러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지만 유용한 자원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지난 수십 년 동안 그 가치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열가수분해나 습식산화 같은 유망한 기술이 하수슬러지의 유용자원 회수에 이용되어왔다. 열가수분해는 혐기소화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 그리고 습식산화는 가용화와 부분 산화에 이용되는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다당류나 지질, 인화합물의 가용화(열가수분해)나 카르복실산 생산(습식산화)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자료는 이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화학물질...

    자세히 보기
    2017-06-14 이승용(sylee725)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다양한 폐수처리 및 하수슬러지 관리 과정에서 인 회수 방법에 대한 리뷰

    다양한 폐수처리 및 하수슬러지 관리 과정에서 인 회수 방법에 대한 리뷰

    1. 분석자서문 전 세계적으로 인의 매장량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에 인 회수 방법은 과학 및 산업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본 보고서는 하수슬러지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설명된 접근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수슬러지와 침출수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과 하수슬러지 재로부터 인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이 생태학적, 경제학적 측면 모두에서 더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형 오물 무생성 전략의 개발에 대한 필요는 점점 더 급격하게 증가하고 ...

    자세히 보기
    2017-06-07 신현길(gil)

  • 폐기물 관리/자원순환

    미량원소 보충에 따른 혐기성 소화 공정 효율에 대한 총론

    미량원소 보충에 따른 혐기성 소화 공정 효율에 대한 총론

    1. 분석자서문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공정 운전 인자(온도, pH, 체류시간, 유기물 부하, 소화조 형태, 기질의 종류)들이 있다. 이러한 운전 요소들에 따라 소화조 내 미생물의 물질대사 조건을 결정하여 바이오가스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소화조 효율 증진을 위한 첨가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량(질소, 인, 황 등) 및 미량(철,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세슘) 영영소, 소각재, 암모니아 저해 완화제, 높은 용량의 바이오매스 기...

    자세히 보기
    2017-05-23 이인규(young428)

  • 환경

    슬러지 전처리의 에너지 효율성 조사: 총론

    슬러지 전처리의 에너지 효율성 조사: 총론

    1. 분석자 서문 하수슬러지에 대한 전처리는 대부분의 실험실 규모 연구에서 바이오가스 생산량 증가를 도출하기 때문에 혐기소화 공정에서 구현되는 높은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평가는 일반적으로 과학적 보고서에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처리 공정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간단히 평가를 함으로써, 다행스럽게도 모든 전처리 기술이 여러 번 연속적으로 에너지 투자를 필요로 하는 WWTP에 에너지 자급자족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세히 보기

  • 환경

    극소량 유기오염물질 제거 기술의 기술 동향

    극소량 유기오염물질 제거 기술의 기술 동향

    1. 분석자 서문 본 분석은 극소량 유기오염물질(trace organic contaminants, TrOCs)의 생성 및 분해 과정, 슬러지 내 축적 조건, 제거 기술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러지 처리 과정인 농축, 안정화, 개량화, 탈수 과정에서 TrOCs의 생성, 분해와 흡착, 생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운전 인자, 즉 pH, 슬러지 체류시간(sludge retention time, SRT), 온도에 대해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1. 개요 2. TrOCs의 생성/분해 ...

    자세히 보기
    2016-03-16 이승용(sylee725)

  • 환경

    처리되지 않거나 처리된 슬러지의 토양 적용 시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의 발생과 환경 위해성에 대한 총론

    처리되지 않거나 처리된 슬러지의 토양 적용 시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의 발생과 환경 위해성에 대한 총론

    1. 분석자 서문 본 총론은 59개의 문헌을 검토하여 169개의 관심 대상 의약 물질 및 개인 위생 제품(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화합물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이 슬러지 및 슬러지가 살포된 토양에서 검출되는 농도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슬러지가 살포된 토양에서의 PPCPs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여 농도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환경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항생제, 호르몬, 진통제, 항염증제 등의 화...

    자세히 보기
    2016-03-11 문철환(highmoon)

1  2  3 
1  2  3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