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system)은 중앙집중형 폐수처리 시스템(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인프라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기술로는 정화조와 인공습지 등이 있다. 본 동향 보고서에서는 최근 발표된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관련 연구를 정리하여,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
자세히 보기- KOSEN
- KOSENReport
- water management
- waste water management
- 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 sewage
2023-02-20 이경선(kylee414)- 1
-
환경
물발자국의 연구 동향
물발자국의 연구 동향
UN-water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23억 명이 ‘물 스트레스(water stressed)’ 국가에 살고 있으며, 그중 7억 3,300만 명은 매우 극심한 물 스트레스 국가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또한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약 40억 명이 1년 중 적어도 한 달 동안 심각한 물 부족을 경험하며[2],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7억 명의 사람들이 극심한 물 부족으로 실향민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1]. 이처럼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
자세히 보기- Water footprint assessment
- water footprint
- virtual water
- water management
-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2021-12-27 이경선(kylee414)- 1
-
환경
그린인프라의 환경적 효과와 적용 현황
그린인프라의 환경적 효과와 적용 현황
1. 서론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는 “자연생태계 가치와 기능을 보존하고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상호 연결된 녹지”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인프라를 의미한다.[1] 이러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그린인프라는 각 국가별로 상황에 맞게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EPA는 그린인프라의 목적을 우수 관리(stormwater management)에 초점을 두고, 기존의 그레이인프라와 비교하여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자세히 보기- Green infrastructure
- urban water management
- climate change adaptation
- climate change mitigation
- environmental policy
2019-10-16 이경선(kylee414)- 0
-
에너지/자원
직접메탄올연료전지의 연구개발 동향
직접메탄올연료전지의 연구개발 동향
1. 서론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21세기의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 대체원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은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아야 하는데, 연료전지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1839년 윌리엄 그로브(William Grove)가 최초로 연료전지(fuel cell)를 만든 이후, 연료전지의 성능과 가격을 낮추기 위해 많은 연구개발이 있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연소를 통해 열기관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연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
자세히 보기- direct methanol fuel cell
- methanol crossover
- portable device
- metal electrode assembley
- water management
2018-11-05 전영민(sensors314)- 1
-
물관리
채굴생산수 처리기술 현황
채굴생산수 처리기술 현황
1.분석자 서문 채굴생산수(Produced water, PW)는 오일이나 가스를 채굴하는 동안 지하저류조에서 발생되는 폐수이다. PW는 다량으로 생성되며 다양한 독성 유/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잡한 조성을 가지고 있다. 배출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현재 PW는 상분리기, 경사분리기, 사이클론 및 조대필터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처리 방법들은 유출수의 재사용(채굴정에 재주입) 또는 다른 유익한 용도(관개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강화된 기준에는 부합되지 못한다. 따라서 환...
자세히 보기- Produced water
- oil and grease
- oil and gas
-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s
2018-02-20 김관엽(yeops)- 0
-
물관리
생활하수 재이용에서의 고급 산화와 소독 공정
생활하수 재이용에서의 고급 산화와 소독 공정
1.분석자 서문 무배출 생활하수(Net-zero greywater, NZGW) 재이용 또는 생활하수의 폐쇄 루프 재이용은 주거지역에 별도의 하수도 설치 및 유지보수를 피하면서 물과 그에 수반되는 온수 열에너지를 모두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이 가능하다면 원격 응급의료서비스를 위한 세척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생활하수의 재이용은 재생된 물이 인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우수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본 분석에서는 NZGW 시스템에서 브롬산염과 같은 산화부산물의 제어와 음용 가능한 재이용 가...
자세히 보기2017-12-12 김관엽(yeops)- 0
-
에너지/자원
기체 주입식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보고서
기체 주입식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보고서
1. 분석자 서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s - 이하 DMFCs)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PC의 충전과 같이 여러 가지 기기의 이동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수요에 의하여 메탄올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주로 액체 메탄올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분리막, 전극 촉매, 그리고 시스템 제어에 대한 내용이 연구되었다. DMFC 시스템은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들이 상용 기기 적용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분석에서는 기체 주입...
자세히 보기2016-02-05 윤석환(sukhwan1983)- 0
-
신재생에너지
물 거동이 PEMFC 성능감소에 미치는 영향
물 거동이 PEMFC 성능감소에 미치는 영향
1. 분석자 서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자동차용 친환경 동력원 중의 하나로써,? 전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수십 년 동안 경쟁적으로 개발해 오고 있는 기술이다. 자동차용 PEMFC 시스템은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2],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내구성 향상, 시스템 가격저감,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의 과제가...
자세히 보기2013-08-05 이훈희(eguitar97)- 1
-
수공시스템기술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요 약 문 1. 제 목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 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사업목적 본 사업에 착수하는 ‘KOSENIA in Silicon Valley (KSV)’의 이상원 박사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4년간 미국의 ‘남부 플로리다 지역과 에버그레이드 국립습지 공원 복원 종합 재 사업(Comprehensive Everglades Restoration Re-study Project, C...
자세히 보기2011-06-16 이상원()- 0
-
신재생에너지
PEMFC 가스채널 내부 물의 2상 유동에 관한 리뷰
PEMFC 가스채널 내부 물의 2상 유동에 관한 리뷰
1. 분석자 서문 물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가 작동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지만, 과도하거나 부족하게 되면 성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료전지에서 물은 가습된 연료가스 및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불가피하게 생성되는데, 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목표로 하는 전지 성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연료전지 가스채널에서 물은 기체 및 액체 상태로 존재하면서 독특한 2상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물 관리에 있어 복잡함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연료전지 기술이 ...
자세히 보기2010-08-18 이훈희(eguitar97)- 0
전체 12개
-
환경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system)은 중앙집중형 폐수처리 시스템(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인프라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기술로는 정화조와 인공습지 등이 있다. 본 동향 보고서에서는 최근 발표된 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관련 연구를 정리하여,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
자세히 보기- KOSEN
- KOSENReport
- water management
- waste water management
- decentralized waste water management
- sewage
2023-02-20 이경선(kylee414)- 1
-
환경
물발자국의 연구 동향
물발자국의 연구 동향
UN-water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23억 명이 ‘물 스트레스(water stressed)’ 국가에 살고 있으며, 그중 7억 3,300만 명은 매우 극심한 물 스트레스 국가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또한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약 40억 명이 1년 중 적어도 한 달 동안 심각한 물 부족을 경험하며[2],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7억 명의 사람들이 극심한 물 부족으로 실향민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1]. 이처럼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
자세히 보기- Water footprint assessment
- water footprint
- virtual water
- water management
-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2021-12-27 이경선(kylee414)- 1
-
환경
그린인프라의 환경적 효과와 적용 현황
그린인프라의 환경적 효과와 적용 현황
1. 서론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는 “자연생태계 가치와 기능을 보존하고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상호 연결된 녹지”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인프라를 의미한다.[1] 이러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그린인프라는 각 국가별로 상황에 맞게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EPA는 그린인프라의 목적을 우수 관리(stormwater management)에 초점을 두고, 기존의 그레이인프라와 비교하여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자세히 보기- Green infrastructure
- urban water management
- climate change adaptation
- climate change mitigation
- environmental policy
2019-10-16 이경선(kylee414)- 0
-
에너지/자원
직접메탄올연료전지의 연구개발 동향
직접메탄올연료전지의 연구개발 동향
1. 서론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21세기의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 대체원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은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아야 하는데, 연료전지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1839년 윌리엄 그로브(William Grove)가 최초로 연료전지(fuel cell)를 만든 이후, 연료전지의 성능과 가격을 낮추기 위해 많은 연구개발이 있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연소를 통해 열기관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연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
자세히 보기- direct methanol fuel cell
- methanol crossover
- portable device
- metal electrode assembley
- water management
2018-11-05 전영민(sensors314)- 1
-
물관리
채굴생산수 처리기술 현황
채굴생산수 처리기술 현황
1.분석자 서문 채굴생산수(Produced water, PW)는 오일이나 가스를 채굴하는 동안 지하저류조에서 발생되는 폐수이다. PW는 다량으로 생성되며 다양한 독성 유/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잡한 조성을 가지고 있다. 배출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현재 PW는 상분리기, 경사분리기, 사이클론 및 조대필터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처리 방법들은 유출수의 재사용(채굴정에 재주입) 또는 다른 유익한 용도(관개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강화된 기준에는 부합되지 못한다. 따라서 환...
자세히 보기- Produced water
- oil and grease
- oil and gas
-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s
2018-02-20 김관엽(yeops)- 0
-
물관리
생활하수 재이용에서의 고급 산화와 소독 공정
생활하수 재이용에서의 고급 산화와 소독 공정
1.분석자 서문 무배출 생활하수(Net-zero greywater, NZGW) 재이용 또는 생활하수의 폐쇄 루프 재이용은 주거지역에 별도의 하수도 설치 및 유지보수를 피하면서 물과 그에 수반되는 온수 열에너지를 모두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이 가능하다면 원격 응급의료서비스를 위한 세척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생활하수의 재이용은 재생된 물이 인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우수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본 분석에서는 NZGW 시스템에서 브롬산염과 같은 산화부산물의 제어와 음용 가능한 재이용 가...
자세히 보기2017-12-12 김관엽(yeops)- 0
-
에너지/자원
기체 주입식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보고서
기체 주입식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보고서
1. 분석자 서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s - 이하 DMFCs)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PC의 충전과 같이 여러 가지 기기의 이동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수요에 의하여 메탄올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주로 액체 메탄올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분리막, 전극 촉매, 그리고 시스템 제어에 대한 내용이 연구되었다. DMFC 시스템은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들이 상용 기기 적용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분석에서는 기체 주입...
자세히 보기2016-02-05 윤석환(sukhwan1983)- 0
-
신재생에너지
물 거동이 PEMFC 성능감소에 미치는 영향
물 거동이 PEMFC 성능감소에 미치는 영향
1. 분석자 서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자동차용 친환경 동력원 중의 하나로써,? 전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수십 년 동안 경쟁적으로 개발해 오고 있는 기술이다. 자동차용 PEMFC 시스템은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2],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내구성 향상, 시스템 가격저감,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의 과제가...
자세히 보기2013-08-05 이훈희(eguitar97)- 1
-
수공시스템기술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요 약 문 1. 제 목 미국의 광역 수리.수문 1-2-3 차원 통합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 기법의 최신 기술 동향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사업목적 본 사업에 착수하는 ‘KOSENIA in Silicon Valley (KSV)’의 이상원 박사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4년간 미국의 ‘남부 플로리다 지역과 에버그레이드 국립습지 공원 복원 종합 재 사업(Comprehensive Everglades Restoration Re-study Project, C...
자세히 보기2011-06-16 이상원()- 0
-
신재생에너지
PEMFC 가스채널 내부 물의 2상 유동에 관한 리뷰
PEMFC 가스채널 내부 물의 2상 유동에 관한 리뷰
1. 분석자 서문 물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가 작동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지만, 과도하거나 부족하게 되면 성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료전지에서 물은 가습된 연료가스 및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불가피하게 생성되는데, 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목표로 하는 전지 성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연료전지 가스채널에서 물은 기체 및 액체 상태로 존재하면서 독특한 2상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물 관리에 있어 복잡함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연료전지 기술이 ...
자세히 보기2010-08-18 이훈희(eguitar9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