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보건의료
분뇨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병원균 관리 전략
분뇨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병원균 관리 전략
위생처리(sanitation)는 인간이 배출한 분뇨(human excreta)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시설과 서비스로 정의되며, 분뇨에 존재하는 병원균에 의한 환경오염과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한다. UN의 지속가능한발전목표 6번(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위생처리시설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20억 명의 인구가 분뇨를 위생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분뇨의 위생처리 방법은 발생된 분뇨를 하수처리시설로 반입하여 살균 공정으로 분뇨에 ...
자세히 보기2022-02-21 문철환(highmoon)- 1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2021-10-08 문철환(highmoon)- 2
-
생명과학
전염병(infectious disease)을 위한 신약 개발에서의 대사체학 역할
전염병(infectious disease)을 위한 신약 개발에서의 대사체학 역할
전염병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시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망 원인이다. 현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전 세계적인 전염병의 유행에서 볼 수 있듯이, 적절한 백신과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으면 수많은 생명을 잃게 된다. 특히 이미 치료약이 개발된 전염병이라도 약제 내성이 있는 기생충,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출현은 이러한 전염병을 치료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수많은 성공적인 항생제가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새로운 항감염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드물어 전염병을 통제하는 데 있어 많은 ...
자세히 보기2020-12-28 김동현(shark118)- 1
-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 백신 기술의 연구 동향
지카바이러스 백신 기술의 연구 동향
1. 개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생물학적으로 플라비비리대과(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분류인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에 해당하는 바이러스로,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뎅기바이러스(dengue virus) 및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와 같은 속에 해당한다. 지카바이러스는 주로 각다귀속(Aedes genus)에 해당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및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
자세히 보기2020-04-16 최재원(jwchoi0211)- 0
-
생명과학
지카바이러스 검출 기술개발 동향
지카바이러스 검출 기술개발 동향
1. 개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생물학적으로 플라비비리대 과(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속인 플라비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해당하는 바이러스다. 플라비바이러스 속에는 지카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뎅기바이러스, 일본뇌염바이러스, 황열바이러스 등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이들은 모두 약 11kb(kilobase) 크기의 양성의 단일가닥 RNA((+)ss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으며, 3종류의 구조단백질(캡시드 단백질, 막 단백질, 표피...
자세히 보기2019-12-10 최재원(jwchoi0211)- 0
-
의약품/의약품개발
mRNA 백신 - 새로운 백신의 시대
mRNA 백신 - 새로운 백신의 시대
1.분석자 서문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백신은 보통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물질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자체를 기반으로 하거나 혹은 이들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1800년경 에드워드 제너에 의해 처음 백신 기술이 제시된 이후 근 200여 년 동안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백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백신의 발달은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되어왔고, 현재 불활화 백신, 약독화 생백신, 재조합 단백질 백신, 키메라 약독화 생백신, 접합...
자세히 보기2018-02-23 서기원(majimotai)- 1
-
융합바이오
전염병의 핵산증폭검사를 위한 종이 미세유체 기술
전염병의 핵산증폭검사를 위한 종이 미세유체 기술
1.분석자 서문 전염병의 진단은 종이 기반의 랩온어칩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장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핵산의 등온증폭 기술과의 결합은 분자생물학의 기술 실현을 개발도상국에서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칩이 아닌 종이라는 새로운 기반의 기질을 사용하므로 완전히 새로운 샘플 준비 과정, 증폭 과정, 검출 방법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술의 발전을 더디게 하는 장애 요소가 존재하여 아직 충분히 원숙한 기술에 다다르지 못했다. 본 분석에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 분야의 최신 기술을...
자세히 보기- Paper Microfluidics
-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ing(NAAT)
- Infectious Diseases
- Isothermal Amplification
- Micro-Paper Analytical Device(μPAD)
2018-02-01 이민성(rheems93)- 0
-
융합바이오
자원 부족 국가에서 산모와 신생아 건강 개선을 위한 현장 진단 방법
자원 부족 국가에서 산모와 신생아 건강 개선을 위한 현장 진단 방법
1.분석자 서문 매일 약 830명의 산모와 7,400명의 신생아가 임신 기간 혹은 출산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사망하고 있다.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빠른 진단과 치료가 현장에서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도 산모와 신생아의 사망 유발 원인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몇몇 진단 도구들이 개발되어 있다. 본 분석에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단 도구들과 현재 개발 중에 ...
자세히 보기2017-12-26 신현길(gil)- 0
-
보건의료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대한 광범위 작용 치료 물질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대한 광범위 작용 치료 물질
1. 분석자서문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속(屬)의 바이러스에는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sis virus, JEV) 이외에 지카바이러스(Zikavirus), 뎅기바이러스(Dengue virus, DENV) 그리고 간(liver)에 만성적인 질환을 일으키는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등 많은 바이러스들이 포함된다. 이들 바이러스들은 무증상 혹은 경증의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나 간암, 뇌증상, 소뇌증 등 ...
자세히 보기2017-07-04 신영오(yoongoh50)- 0
전체 35개
-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보건의료
분뇨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병원균 관리 전략
분뇨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병원균 관리 전략
위생처리(sanitation)는 인간이 배출한 분뇨(human excreta)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시설과 서비스로 정의되며, 분뇨에 존재하는 병원균에 의한 환경오염과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한다. UN의 지속가능한발전목표 6번(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위생처리시설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20억 명의 인구가 분뇨를 위생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분뇨의 위생처리 방법은 발생된 분뇨를 하수처리시설로 반입하여 살균 공정으로 분뇨에 ...
자세히 보기2022-02-21 문철환(highmoon)- 1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하수에서 SARS-CoV-2 신호를 감시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윤리 지침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대유행(COVID-19 pandemic)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도시하수에서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는 하수 기반의 역학(wastewater based epidemiology; WBE)이다[2]. WBE 연구는 기본적으로 의학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Canadian Water Network(CWN)는 Can-adian COVID-19 Wastewater Co...
자세히 보기2021-10-08 문철환(highmoon)- 2
-
생명과학
전염병(infectious disease)을 위한 신약 개발에서의 대사체학 역할
전염병(infectious disease)을 위한 신약 개발에서의 대사체학 역할
전염병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시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망 원인이다. 현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전 세계적인 전염병의 유행에서 볼 수 있듯이, 적절한 백신과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으면 수많은 생명을 잃게 된다. 특히 이미 치료약이 개발된 전염병이라도 약제 내성이 있는 기생충,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출현은 이러한 전염병을 치료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수많은 성공적인 항생제가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새로운 항감염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드물어 전염병을 통제하는 데 있어 많은 ...
자세히 보기2020-12-28 김동현(shark118)- 1
-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 백신 기술의 연구 동향
지카바이러스 백신 기술의 연구 동향
1. 개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생물학적으로 플라비비리대과(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분류인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에 해당하는 바이러스로,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뎅기바이러스(dengue virus) 및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와 같은 속에 해당한다. 지카바이러스는 주로 각다귀속(Aedes genus)에 해당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및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
자세히 보기2020-04-16 최재원(jwchoi0211)- 0
-
생명과학
지카바이러스 검출 기술개발 동향
지카바이러스 검출 기술개발 동향
1. 개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생물학적으로 플라비비리대 과(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속인 플라비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해당하는 바이러스다. 플라비바이러스 속에는 지카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뎅기바이러스, 일본뇌염바이러스, 황열바이러스 등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이들은 모두 약 11kb(kilobase) 크기의 양성의 단일가닥 RNA((+)ss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으며, 3종류의 구조단백질(캡시드 단백질, 막 단백질, 표피...
자세히 보기2019-12-10 최재원(jwchoi0211)- 0
-
의약품/의약품개발
mRNA 백신 - 새로운 백신의 시대
mRNA 백신 - 새로운 백신의 시대
1.분석자 서문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백신은 보통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물질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자체를 기반으로 하거나 혹은 이들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1800년경 에드워드 제너에 의해 처음 백신 기술이 제시된 이후 근 200여 년 동안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백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백신의 발달은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되어왔고, 현재 불활화 백신, 약독화 생백신, 재조합 단백질 백신, 키메라 약독화 생백신, 접합...
자세히 보기2018-02-23 서기원(majimotai)- 1
-
융합바이오
전염병의 핵산증폭검사를 위한 종이 미세유체 기술
전염병의 핵산증폭검사를 위한 종이 미세유체 기술
1.분석자 서문 전염병의 진단은 종이 기반의 랩온어칩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장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핵산의 등온증폭 기술과의 결합은 분자생물학의 기술 실현을 개발도상국에서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칩이 아닌 종이라는 새로운 기반의 기질을 사용하므로 완전히 새로운 샘플 준비 과정, 증폭 과정, 검출 방법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술의 발전을 더디게 하는 장애 요소가 존재하여 아직 충분히 원숙한 기술에 다다르지 못했다. 본 분석에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 분야의 최신 기술을...
자세히 보기- Paper Microfluidics
-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ing(NAAT)
- Infectious Diseases
- Isothermal Amplification
- Micro-Paper Analytical Device(μPAD)
2018-02-01 이민성(rheems93)- 0
-
융합바이오
자원 부족 국가에서 산모와 신생아 건강 개선을 위한 현장 진단 방법
자원 부족 국가에서 산모와 신생아 건강 개선을 위한 현장 진단 방법
1.분석자 서문 매일 약 830명의 산모와 7,400명의 신생아가 임신 기간 혹은 출산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사망하고 있다.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빠른 진단과 치료가 현장에서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도 산모와 신생아의 사망 유발 원인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몇몇 진단 도구들이 개발되어 있다. 본 분석에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단 도구들과 현재 개발 중에 ...
자세히 보기2017-12-26 신현길(gil)- 0
-
보건의료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대한 광범위 작용 치료 물질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대한 광범위 작용 치료 물질
1. 분석자서문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속(屬)의 바이러스에는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sis virus, JEV) 이외에 지카바이러스(Zikavirus), 뎅기바이러스(Dengue virus, DENV) 그리고 간(liver)에 만성적인 질환을 일으키는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등 많은 바이러스들이 포함된다. 이들 바이러스들은 무증상 혹은 경증의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나 간암, 뇌증상, 소뇌증 등 ...
자세히 보기2017-07-04 신영오(yoongoh5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