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산성 용액(pTSA, BSA, PSA)의 세기

고분자 화합물을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경화제(혼합용액)가 있습니다.
주성분이 pTSA(p-Toluenesulfonic acid), BSA (Benzenesulfonic acid), PSA (Phenolsulfonic acid)용액입니다.

이러한 경화제의 산성으로서 세기를 측정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어떤것이 소량으로도 더 빠르게 경화를 시키는지)?

 
  • 산의세기
  • 산성용액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솔직히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3가지 유기산 중 어떤 물질이 경화제로써 더 강력한 물질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신 것인지, 아니면 직접 경화실험을 해보지 않고도 경화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원리로 해당 물질들이 경화제로서 작용하는지 알 수는 없으나, 만약 이 물질들의 산도가 이를 결정짓는 요인이라면 각 물질의 pKa 문헌값 정도만 확인해도 가능하겠죠. 만약 찾을 수 없다면 같은 농도로 만든 후에 pH를 측정해봐도 될 겁니다. 

    산도가 결정적인 요인이 안니라면 직접 경화를 시켜보면 쉽게 확인이 될 겁니다.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나 경화물의 물성치를 평가해보면 적합한 경화제를 쉽게 선정할 수 있을 겁니다.
    솔직히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3가지 유기산 중 어떤 물질이 경화제로써 더 강력한 물질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신 것인지, 아니면 직접 경화실험을 해보지 않고도 경화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원리로 해당 물질들이 경화제로서 작용하는지 알 수는 없으나, 만약 이 물질들의 산도가 이를 결정짓는 요인이라면 각 물질의 pKa 문헌값 정도만 확인해도 가능하겠죠. 만약 찾을 수 없다면 같은 농도로 만든 후에 pH를 측정해봐도 될 겁니다. 

    산도가 결정적인 요인이 안니라면 직접 경화를 시켜보면 쉽게 확인이 될 겁니다.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나 경화물의 물성치를 평가해보면 적합한 경화제를 쉽게 선정할 수 있을 겁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전자였습니다. 3가지 유기산 중 어느것이 더 강력한 물질인지 측정할 수 있는 것이 궁금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전자였습니다. 3가지 유기산 중 어느것이 더 강력한 물질인지 측정할 수 있는 것이 궁금했습니다.

  • 답변

    김병관님의 답변

    검색했을 때 다음과 같이 산도가 나와있습니다.
    Acidity (pKa)
    pTSA(p-Toluenesulfonic acid): -2.8 (water)
    BSA (Benzenesulfonic acid): -2.8
    PSA (Phenolsulfonic acid): -2.6

    산성 조건에 활성화가 잘 되는 중합반응이면 산도가 낮았을 때 중합속도가 더 빨리 진행될 수는 있을 것 같으나 중합 조건에 따라 매우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농도, 다른 단량체 비율, 온도 등등) 실제로 실험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검색했을 때 다음과 같이 산도가 나와있습니다.
    Acidity (pKa)
    pTSA(p-Toluenesulfonic acid): -2.8 (water)
    BSA (Benzenesulfonic acid): -2.8
    PSA (Phenolsulfonic acid): -2.6

    산성 조건에 활성화가 잘 되는 중합반응이면 산도가 낮았을 때 중합속도가 더 빨리 진행될 수는 있을 것 같으나 중합 조건에 따라 매우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농도, 다른 단량체 비율, 온도 등등) 실제로 실험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pTSA, BSA, PSA에 대해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이들은 모두 유기술폰산계 물질로서 이들의 산도는 각 물질의 순도에도 좌우 됩니다. 주요 불순물은 제조 과정에서 유입되는 잔류 황산 입니다. 따라서 불순물로서 황산의 함유량이 산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꼭 고려 하셔야 합니다.
    pTSA, BSA, PSA에 대해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이들은 모두 유기술폰산계 물질로서 이들의 산도는 각 물질의 순도에도 좌우 됩니다. 주요 불순물은 제조 과정에서 유입되는 잔류 황산 입니다. 따라서 불순물로서 황산의 함유량이 산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꼭 고려 하셔야 합니다.

    잔류 황산이 혹시 물에 용해도적인 측면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평형이론을 근거로 유추해보면 잔류 황산의 양이 많아지면 pH가 낮아지고, 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용해도가 감소하겠죠. 용해도 데이타를 잠깐 찾아봤는데,..... 데이타도 그러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