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Theory, Politics and the Arts

    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개최일

    2014-10-09~2014-10-09

    신청자

    차민경(cremk)

    개최장소

    Ottawa, Canada

    URL

행사&학회소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Theory, Politics and the Arts(STP&A)는 올해로 40회를 맞이하는 문화예술 경영, 정책, 산업, 소비자 연구 분야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이다. 본 학회는 A&HCI(Art & Humanities Citation Index) 등재 국제 저널인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JAMLS)이 공동 운영하는 학회로서 미주, 유럽, 아시아의 학자 및 교수를 비롯하여 정책기획자, 극장 및 예술단체, 그리고 박물관의 운영자들이 다수 참석하고 있다.
본 학회는 문화예술,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과 인문과학, 그리고 경제, 법학, 교육, 행정, 철학, 문학 등의 다양한 학문간 교류와 융합을 추진하고 있다. 2014년 STP&A의 테마는 “창의적 결합: 문화 연구와 실행 간의 관계 이해와 강화(Creative nexus: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research and practice)“로,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성과를 문화예술 분야에 어떻게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환경의 문화예술 창작, 유통, 소비 환경을 준비하고 대응하는 지 다양한 논의가 펼쳐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학회는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학문 간 교류와 실행 성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급격하게 변화, 성장하고 있는 문화예술 시장의 새로운 도전을 대비하고, 이에 따라 예술경영, 정책 운영자들의 역할과 이들이 고민해야 할 제 문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학회는 캐나다 오타와에 위치한 오타와 대학(University of Ottawa)에서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보고서작성신청
본 학회는 A&HCI 등재 국제 저널인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이 공동 운영하는 예술경영 및 문화정책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이다. 본 학회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이슈들은 현재 전 세계 문화예술 경영 및 정책 분야에서 가장 중심이 되며 수준 높은 논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국내 문화예술 경영 및 정책 분야 운영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학회에서 논의 되는 주제들은 창조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구축하려는 정부의 정책 방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국제적으로 성장하는 국내 문화산업의 종사자들에게도 국제적 학문적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시장에 참고할 만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청자는 본 학회에서 두 개의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나는 소비자의 생활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 미디어 환경이 문화자본 습득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 A research on value chain structure of the performing arts consumers’ social media usage : Focusing on cultural capital expansion이며, 또 다른 하나는 사이버 미디어의 발전이 국제 문화 교류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침해되는 저작권에 대해 연구한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the consumption of overseas popular culture : Focusing on Japanese pop culture fans in South Korea이다. 두 논문 모두 새로운 환경에서의 문화예술 소비자의 변화를 연구한 논문으로 향후 미래 사회의 문화예술 소비 구조의 변화를 연구하며, 이에 따라 산업적, 정책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고찰하고 있다.
신청자는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의 사례를 국제 학회에 소개함은 물론, 학회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국가의 문화예술 산업 환경, 정책적, 교육적 대응 등을 국내에 다시 소개함으로써 국내 문화예술 산업과 정책 분야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