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chemical synthesis of ammonia in solid electrolyte cells
2014-07-29
org.kosen.entty.User@45e2a568
주형국(juelf)
분야
에너지/자원
개최일
2014.01.17
신청자
주형국(juelf)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AMMONIA SYNTHESIS IN PROTON(H+) CONDUCTING CELLS
3. PROGRESS WITH H+ CONDUCTING CELLS
4.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AMMONIA IN OTHER (NOT H+) ELECTROLYTE CELLS
5. ELECTROCHEMICAL PROMOTION DURING SSAS
6. COMPARING CATALYTIC AND ELECTROCATALYTIC SYNTHESIS
7. ECONOMIC CONSIDERATIONS AND FUTURE OUTLOOK
2. AMMONIA SYNTHESIS IN PROTON(H+) CONDUCTING CELLS
3. PROGRESS WITH H+ CONDUCTING CELLS
4.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AMMONIA IN OTHER (NOT H+) ELECTROLYTE CELLS
5. ELECTROCHEMICAL PROMOTION DURING SSAS
6. COMPARING CATALYTIC AND ELECTROCATALYTIC SYNTHESIS
7. ECONOMIC CONSIDERATIONS AND FUTURE OUTLOOK
보고서작성신청
독일의 과학자 프리츠 하버에 의해서 개발된 암모니아 합성방법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질소비료를 생산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화학 산업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 하버-보슈 공정은 150-300 bar의 높은 압력과 450'C 이상의 고온을 요구하는 현재로도 매우 비싼 생산방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기화학적 루트를 이용한 연구들이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근래에 들어서 연료전지의 성숙된 기술과 전기화학적 촉매에 대한 높은 이해를 통해서 다시 암모니아 합성에 대한 연구가 재조명 되고 있다. 본 리뷰 논문을 통해서 코센 가족들도 암모니아 합성에 대한 재도전의 연구 동향을 같이 알아봤으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