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세포 조절에서 대사신호의 역할
2014-09-12
org.kosen.entty.User@15e623e3
T세포 조절에서canonical 신호와 대사 신호의 역할
2000년 이후 세포 신호에 의한 T세포 활성화와 면역반응 작용 기전의 이해가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들 연구는 주로 면역 자극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통상적인 T세포 활성화 경로인 canonical 신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최근에 T세포 신호와 더불어 면역반응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반응, 대사 작용, 자가 포식과 생존 반응 등이 상호작용하여 T세포를 조절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MYC, hypoxia inducible factor 1α(HIF1α),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mTOR) 등이 T세포 수용체와 항원과의 결합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리뷰 논문에서는 새로 밝혀진 연결관계와 그 결과인, 통상적인 T세포의 canonical pathway와 세포 대사 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T세포의 활성 조절기전에 대해 서술하며 포괄적 system으로써의 면역세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2000년 이후 세포 신호에 의한 T세포 활성화와 면역반응 작용 기전의 이해가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들 연구는 주로 면역 자극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통상적인 T세포 활성화 경로인 canonical 신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최근에 T세포 신호와 더불어 면역반응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반응, 대사 작용, 자가 포식과 생존 반응 등이 상호작용하여 T세포를 조절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MYC, hypoxia inducible factor 1α(HIF1α),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mTOR) 등이 T세포 수용체와 항원과의 결합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리뷰 논문에서는 새로 밝혀진 연결관계와 그 결과인, 통상적인 T세포의 canonical pathway와 세포 대사 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T세포의 활성 조절기전에 대해 서술하며 포괄적 system으로써의 면역세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