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교모세포종과 CXCL12-CXCR4/7

케모카인은 자가분비혹은 곁분비 분자로 종양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분석에서 다루고자 하는 케모카인 CXCL12또는 SDF-1 stromal cell-derived factor-1는 CXCR4와 CXCR7수용체를 통해 직접적으로는 암 세포의 생존, 증식 및 이동을 조절하고 간접적으로는 혈관생성 및 면역 세포를 통해 종양 발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모세포종 또는 아교모세포종은 뇌의 신경교세포에서 발생한 종양 중 조직학적으로 핵의 비정형성, 유사분열상,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괴사가 관찰되며 생존율이 1년 미만에 이르는 악성도가 가장 높은 종양이다. 외과적 절제 수술, 화학 및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여 시도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고 결국 치료에 내성과 재발 및 남은 정상 뇌 조직으로의 전이로 이어져 평균 생존 기간이 15개월 미만으로 현재까지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내성과 전이에서 중요한 것은 종양의 이질성이며 최근 주목하고 있는 암 줄기세포 역시 종양의 이질성을 구성하는 특징 중 하나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분자적인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치료 향상에 진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분석에서는 교모세포종 암 줄기 세포의 관점에서 향후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는 CXCL12및 그 수용체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목차
1. 케모카인 CXCL12과 그 수용체 CXCR4/CXCR7
2. CXCL12/CXCR4?CXCR7 신호전달체계
3. CXCL12/CXCR4?CXCR7 네트워크의 기능: 중추신경계 초기 발생 조절
4. 교모세포종에서 CXCL12/CXCR4?CXCR7의 역할
5. 인체 교모세포종 줄기유사세포에서 CXCL12, CXCR4?CXCR7의 활성
5.1 교모세포종 암 줄기세포
5.1.1 혈관
5.1.2 분자 신호 전달 과정
5.2교모세포종 암 줄기세포 조절에 관여하는 CXCL12/CXCR4-R7 축
5.3 자가 증식
5.4 이동
5.5 혈관생성
6. CXCL12?CXCR4/CXCR7 표적 항암 치료
6.1 CXCR4 길항제
6.2 CXCR7 길항제
6.3 CXCR4-R7 이중 표적 또는 CXCL12억제
7. 결론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