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RESOLVED FLUORESCENCE MICROSCOPY
2014-10-09
org.kosen.entty.User@50bdacd2
Taehee Jeong(thj77)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Abbe’s diffraction limit
2. Early wrestling with the diffraction limit of optical microscopy
3. Discovery of super-resolved fluorescence microscopy
4. After the discovery
2. Early wrestling with the diffraction limit of optical microscopy
3. Discovery of super-resolved fluorescence microscopy
4. After the discovery
보고서작성신청
2014년 노벨 화학상은 에릭 베치그, 윌리엄 뫼너, 슈테판 헬이 공동 수상했다.
이들이 개발한 '슈퍼 분해능의 형광 현미경 사용법'으로 광학현미경이 나노 차원으로 초정밀해졌다"는 것이 선정 이유다.
이들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현미경으로 나노미터 단위까지 관찰하는 것이 가능케 했다.
이들이 개발한 슈퍼 분해능을 갖는 형광 현미경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연구 분야인 배아내 세포 분화, 헌팅턴 병에 관여된 단백질 연구, 뇌 신경 세포의 시냅스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광 현미경을 개발하거나 일반적인 세포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들이 개발한 '슈퍼 분해능의 형광 현미경 사용법'으로 광학현미경이 나노 차원으로 초정밀해졌다"는 것이 선정 이유다.
이들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현미경으로 나노미터 단위까지 관찰하는 것이 가능케 했다.
이들이 개발한 슈퍼 분해능을 갖는 형광 현미경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연구 분야인 배아내 세포 분화, 헌팅턴 병에 관여된 단백질 연구, 뇌 신경 세포의 시냅스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광 현미경을 개발하거나 일반적인 세포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