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2차 검토 결과 및 수정 요청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검토의견을 통한 43가지 수정 요청 사항 중 21가지가 반영되어 수정 보완 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KOSEN 에서 제시한 요약 분량이 4페이지기는 하나 분석물의 완성도를 위해서 어느정도의 분량 추가는 불가피하다고 판단됩니다. 실제로 다른 분석물들의 경우도 KOSEN 제시 분량 이내에 분석이 완료되는 경우는 상당히 드뭅니다. 오히려 무리하게 요약을 하거나 내용을 삭제하다보면 원문이 의도한 바를 적절히 전달하지 못하거나 외곡된 내용으로 요약이 될 수 있습니다.

분석자께서 제시하신 요약분량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미반영 22가지 수정요청 사항 중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것들만 선택하여 다시 수정을 요청합니다. 한 번 더 수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분량이 너무 늘어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면 원문을 번역할 때 문장대 문장으로 번역하지 말고 "요약"하여 정리하시면 분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아래 검토 의견을 참고하여 한 번 더 수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이전 버전과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문단 나누기가 다 사라졌습니다. 내용에 따라 문단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

2. 서문 부분의 "메탄영양세균 (methanotroph)은 인지질 지방산..... 사용한 연구는 많이 진척되어지지 않았다" 부분을 "더 많은 연구는 생태 시스템 서비스.."의 앞으로 이동해 주세요.

3. 서문의 "메탄 생산의 주요한 공정은..."의 문장은 메탄 "생산"의 공정을 설명하는 문장이 아닙니다. 확인 바랍니다.

4. 3.2. 혐기성 메탄 산화 부분의 "깊은 퇴적지에서 생성된 메탄은 상향으로 확산하는 경향이 있으며.... 전핵류(prokaryotes)에 의하여 메탄은 소비되어진다" 부분의 번역이 어색합니다. 다시 다듬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역활" 은 "역할"이 되어야 하며 "있으묘"는 "있으며"가 되어야 하고, "전핵류" 는 "원핵생물" 이 더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5. 바로 아래 문장의 모호한 환경 (해양 침전지, 메탄 누출지...) 의 "모호한" 으로 번역된 "obscure" 는 "쉽지 않은" 또는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됩니다.

6. 더 아래 부분의 "황산염 환원 세균은 혐기적 조건하에서 열역학적으로 메탄 산화를 선호하는...수소 수준은 그 협력에서 두 미생물 사이에서 가능한 에너지의 분획(partitioning) 을 결정한다" 의 번역을 다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7. 4.3. 통성 메탄영양세균 부분의 “초산이나 에탄올과 같은 복합적 탄소 사슬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어왔다.” 뒤에 이러한 멀티카본 화합물을 이용하는 methanotroph 발견의 의미와 그로 인해 바뀐 생각 등에 대해서도 기술해 주세요.

8. 5.1. 메탄 친화성에 기반한 호기 메탄영양세균의 분류의 뒤에 메탄 산화율에 기반하여 나누어지는 생리학적 두 그룹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 주세요.

9. 5.2. 메탄영양세균의 인지질 지방산(PLFA)에 기반한 분류의 뒷 부분에 type X 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해 주시고, 어던 pathway 를 이용하는지 에대해서도 추가해 주세요.

10. 또한, 왜PLFA 가 marker 로 사용되는지, 어떤 fatty acids 가 발견되는지, type 별 주요 fatty acids 는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추가해 주세요.

11. 또한, PLFA 를 마커로 사용함에 있어 제한점 (acidophilic 의 경우 다른 조성을 가지는) 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추가해 주세요.

12. 6. 호기성 메탄영양세균의 생태 부분에서 “결론적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의 대부분은 다양한 산림 토양에서 메탄 산화율과 이를 조절하는 변수들을 결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뒷 부분에 메탄 방출이 미생물성 산화에 의해 조절되는 증거를 보이는 연구 결과에 대해 소개해 주시고, 추운지방의 메탄 산화에 대해서도 소개해 주세요.

13. 7. 메탄영양세균에 의해서 대사되는 탄소의 운명 부분의 "대기로의 방출과 메탄산화로 커플화된다"를 "메탄 산화 및 배출과 상관관계를 가진다"로 바꿔 주세요.

14. 8. 메탄영양세균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들 부분에 핵산 기반 방법인 DGGE, T-RFLP, 16S rRNA+ functional gene, comparative genome 등의 이용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5. 또한 PLFA 방법에 대한 설명 중 PLFA 방법이 왜 유용한가, 왜 pmoA 와 함께 비교되어야 하나, 또한 labelled substrate 와 함께 이용되는 PLFA 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6. 9.3. 계절적 변화 및 메탄 농도 부분에 CH4 가 없을 때의 경우도 추가해 주세요.

17. 10. 결론 및 향후 전망 부분의 "메탄 산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환경 또는 관리 시스템을... 생태계에 관하여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다" 부분의 해석을 다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