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bial taxonomy in the post-genomic era: Rebuilding from scratch?
2015-04-09
org.kosen.entty.User@1a465a3d
김중재(jjkaos)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2015 Apr
신청자
김중재(jjkaos)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Abstract
2. Short history of microbial taxonomy
3. The failure of polyphasic taxonomy
4. The re-examination of the microbial species definition
5. Paradigm shift
6. In silico phenotyping
7. Statements arguing in favor of a genomic microbial taxonomy
8. References
2. Short history of microbial taxonomy
3. The failure of polyphasic taxonomy
4. The re-examination of the microbial species definition
5. Paradigm shift
6. In silico phenotyping
7. Statements arguing in favor of a genomic microbial taxonomy
8.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최근들어 여러가지 기술적인 발전으로 인해 미생물 분류학 분야의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종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오래된 학계의 표준(기준) 때문에 여러가지 제안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형태학적/대사적 특징 연구 뿐 아니라, DNA-DNA 상동성, G+C 함량, 16S rRNA 유전자 상동성 비교 등이 이러한 표준(기준)을 넓혀왔고, 최근에는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분류에 대한 기준도 새로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본 자료에서는 유전체 시대 이후에 미생물 분류학이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되던 방법들의 소개로 부터, 이들 방법의 문제점, 새로이 정의되어야 하는 미생물 종의 개념, 유전체 시대에 미생물 분류학자들이 가지는 고민들에 대해 정리하고 있으므로, 미생물 분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리라 판단되어 본 자료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