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verview of fecal sample preparation for global metabolic profiling
2015-05-19
org.kosen.entty.User@29c782e5
김동현(shark118)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Sampling and storage of fecal samples
3. Fecal sample preparation for1H NMR analysis
4. Fecal sample preparation for GC?MS analysis
5. Fecal sample preparation for LC?MS analysis
6. Conclusions-future perspectives
2. Sampling and storage of fecal samples
3. Fecal sample preparation for1H NMR analysis
4. Fecal sample preparation for GC?MS analysis
5. Fecal sample preparation for LC?MS analysis
6. Conclusions-future perspectives
보고서작성신청
분석화학을 견지에서 배설물의 대사체 프로파일링은 시료의 복잡성, 비균일성, 소화되지 않은 물질들 및 고분자 화합물 때문에 실행하기 어렵다. 또한 배설물은 짧은 기간동안 섭취한 음식물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때문에 분석이 어렵고, 호스트 유기체와 장 미생물간의 공역대사 (co-metabolism)가 일어나는 주요 표본을 대표하므로 검출된 대사물질들이 호스트로 부터 합성된 것인지 장 미생물로 부터 대사되어진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배설물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잘 확립된 시료 준비 과정이 필요하며, 기기 분석을 위한 컨디션등이 중요하다. 본 리뷰논문에서는 여러가지 다른 분석 방법들을 토론하였고, 선택된 몇가지 예시를 가지고 시료 준비 과정이 대사체 프로파일에 끼치는 영향 또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