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검토 결과 및 추가 수정 요청
2015-05-20
org.kosen.entty.User@3dee703f
김중재(jjkaos)
수고하셨습니다.
검토가 늦어져 죄송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한 번 더 수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제목의 리뷰 ? KOSEN 리포트의 대부분의 분석물이 리뷰이므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삭제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분석자가 꼭 포함하고 싶으시다면 그냥 두어도 되겠습니다.
2.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 라는 표현이 분석물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있습니다. Methanotrophic bacteria 의 번역으로 보이는데, 이 표현은 “메탄영양세균”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박테리아라는 단어가 세균으로 번역이 되며 그로 인해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 는 “메탄영양세균 세균”으로 세균이 두 번 사용되는 양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Methanotroph 는 “메탄영양세균”으로 번역이 되지만, Methanotrophic 은 “메탄영양세균의” 가 아니라 “메탄영양을 하는” 으로 번역이 됩니다. 중복된 단어인 “박테리아”를 삭제해 주세요.
3. Page 1, “각종 방법에 의한 배출 감축이 첫째 접근은 대형 위생 쓰레기매립지에 대하여” 의 “감축이” 는 “감축이다.” 의 typo 로 보입니다.
4. Chapter 1 뒤에 본 자료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추가해 달라고 요청했었습니다. 그러한 내용이 있으면 다음 챕터로 넘어가는 것이 부드러울 것 같아 요청했는데, 분석자께서 꼭 넣고 싶지 않으시다면 넣지 않아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5. Page 2, “MMO 는 입자형 CH4 (pMMO) 및 용해성 CH4 (sMMO) 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부분에서 CH4 가 입자형이나 용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MMO 라는 효소가 입자형으로 존재하냐 용해성으로 존재하냐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입자형 CH4 가 pMMO 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입자형 메탄 산화 효소를 의미하는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가 pMMO 를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해당 문장은 “MMO 는 입자형 메탄 일산소첨가효소 (pMMO;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및 용해성 메탄 일산소첨가효소 (sMMO; soluble methane monooxygenase) 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등의 형태로 바뀌어야 합니다.
6. Page 2,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는 낮은 CH4 농도에서 산화를 시작하게 할 수 있는 0.8~280 n mol/L의 낮은 CH4 산화능으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의 표현이 어색합니다.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은 0.8~280 nmol/L의 낮은 CH4 농도에서 산화를 시작하게 할 수 있는 낮은 CH4 산화능으로 특징 지을 수 있다.” 등으로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 Page 2, “고-친화성 변수에서보다”의 변수의 번역이 적절치 못해 보입니다. 변종 또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내용 상 저친화성 메탄영양세균이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보다 더 일반적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8. Page 2, “Gebert 및 Grongroft(2009)는” 에서 참고하신 문헌을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9. Page 2, “Christophersen등은” 에서 참고하신 문헌을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10. Page 3, “형태 Ⅱ” 를 “타입 II” 로 바꿔 주세요. 앞의 내용에 “타입 II”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본문 전체에 걸쳐 일관성을 가지는 것이 독자의 이해를 높이리라 판단됩니다.
11. Page 3, “CH4 산화의 최적 온도보다 높은 30~ 36℃에서 CH4 산화가 억제되었다.” 번역이 잘 못 되었습니다. 30-36 가 메탄산회의 최적 온도인데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보고하였다는 내용입니다.
12. Page 3, “더욱이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에 영양소로 이용 일비물이 뿌리부분으로 방출되어” 에서 “영양소로 이용 일비물이” 는 “영양소로 이용 가능한 일비물이” 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리고 일비물이란 단어가 흔히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연 설명 또는 영문 표기도 필요하다 판단됩니다.
13. Page 3, “공학적 생물학적 처리시스템에서 질소 및 인이 오르토인산염(에스테르) 및 NH4+ 형태로 추가되고 있다.” 에서 “공학적” 은 engineered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공학적이라기 보다 무언가 인위적으로 조작된(가공된 또는 처리된)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의 의미가 더 맞다고 판단됩니다.
14. Page 3, “NH4+≥4mM(millimolar)에서” 의 “(millimolar)” 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15. Page 4, “CH4 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한하는 인자이다” 의 “제한하는” 의 “하는”은 불필요해 보입니다. “제어하는 제한인자이다”로 바꿔 주세요.
16. Page 4, “CH4 산화 최대 깊이는 50~60 cm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원문에서 최적 메탄 산화능을 보이는 토양의 깊이는 연구자에 따라 15-40, 50-60, 10-30, 0-10 cm 등 굉장히 다른 범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50-60 이라고 특정 지어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17. Page 4, “칼럼 분석에서 CH4 공급률 및 배치 분석 갈등의 공간에서 CH4 농도는, 흙 수분 함량 및 CH4 산화 용량에서 온도 모두의 영향 때문에 저 및 고 CH4 산화에 대하여 상이함이 발견되었다.” 는 “They found that the CH4 supply rate in column assays and the CH4 concentration in the headspace of batch assays conflicts were different for low and high CH4 oxidation capacities, due to the effects of both soil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on the CH4 oxidation capacity.”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이 잘못되었습니다. 컬럼 실험에서는 메탄을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합니다. 그러므로 메탄을 공급하는 속도(율)가 반응계의 메탄 농도를 결정하고, 배치(회분식) 실험에서는 용기 상단의 공기층의 메탄 농도가 반응계의 메탄 농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메탄 농도의 (공급의) 차이가 메탄산화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8. Page 4, “생물학적 시스템은 쓰레기매립지 부지의 사후폐쇄 및 사후관리프로세스 중 가스 수집 시스템이 경제적 선택이 아닌 소규모 쓰레기매립지 부지에서, 오래된 쓰레기매립지의 CH4배출을 걸러내기 위한 가스 수집 시스템에 추가하여 쓰레기매립지의 여러 가지 응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은 “Biotic systems can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in landfills, in addition to gas collection systems for trapping CH4 emissions at old landfills, at small landfill sites at which gas collection systems are not economical options and during landfill site postclosure and aftercare processes.”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만 번역이 잘못되었습니다. 생물학적 시스템이 다양한 매립지에 적용이 가능한데, 그 예가 오래된 매립지, 작은 매립지, 그리고 사용완료 과정 중이거나 사후 관리 중인 매립지입니다. 거기에 오래된 매립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작은 매립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19. Page 4, “바이오-필터의 재료는 주로 바이오 쓰레기로부터 토탄, 퇴비, 야생화, 조각난 나무껍질 및 톱밥과 같은 생물유래의 물질이 이용된다.” 는 “Bio-filter materials are primarily of biological origin, such as peat, compost from bio-waste, heather, shredded bark and sawdust.”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이 조금 잘못되어 있습니다. 예로 들어진 생물 유래 물질은 토탄, 바이오쓰레기로부터의 퇴비, 등등 입니다.
20. Page 4, “바이오 필터는 높은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촉진시키기 위한 물 저장 능력” 에서 “높은”은 “생물학적 프로세스”가 아닌 “물 저장 능력”을 수식해야 합니다.
21. Page 4, “LFG의 보유 시간에 아주 크게 의존한다” 에서 사용된 “보유 시간” 보다 “체류 시간”이 더 적합할 듯 보입니다.
22. Page 5, “유동 공동 기술 및 지오 통계분석을 이용한 쓰레기매립지 덮개 흙으로부터 CH4배출의 공간적 다양성 측정은 쓰레기 매립지 안에서 CH4 배출 과열 점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는 “Measurements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CH4 emissions from landfill cover soils using the flux chamber technique and geo-statistical analysis are used to identify CH4 emission hot spots within a landfill.”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문장 구조상 “유동공동기술 및 지오통계분석을 이용한” 이 “덮개 흙”을 수식하는 것으로 이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문장의 재배열이 필요하다 판단됩니다. 그리고 유동공동기술과 지오통계분석 등의 특별한 단어들은 일반적인 단어라 하기 어려우므로 영문 표기를 병행하는 편이 이해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23. Page 5, “가스 시스템이 바이오- 필터 시스템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취합시스템이 없을 때 유용하다” 에 가스 시스템이 라는 표현이 두 번 반복되었습니다.
24. Page 5, “전형적인 바이오-덮개 시스템은 폐기물 위에 아주 많은 다공성 가스 분포 층, 가끔은 자갈 또는 깨진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정된 퇴비 층이 있다.” 중 “다공성 가스 분포 층”의 분포는 distribution 의 번역으로 보이나 분포라는 의미 보다는 분배(골고루 퍼지게 하는) 하는 개념이 더 맞습니다. 그리고 “수정된 퇴비 층” 은 “퇴비로 보강된 (채워진 등) 층” 등의 의미가 더 맞는 표현이라 판단됩니다. 그리고, 설명을 통해 어떤 순서로 층이 구성되는지 알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설명만으로는 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Fig 6 을 참고하시어 다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문장의 시작인 “가스 분포 층”도 분포가 아닌 다른 단어가 사용되어야겠습니다.
25. Page 5, “수많은 연구자들이 바이오-덮개 시스템을 사용하여 대기로의 쓰레기매립지 CH4 배출을 줄이려고 노력하여서 맥주공장 사용알갱이 및 퇴비 재료의 비가 7:3일 때 CH4 산화가 100%에 도달함을 발견하였다.” 이 문장은 마치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여 찾은 최종 결과가 위 두 물질을 7:3 으로 조합 했을 때 가장 좋은 효율을 보였다.”로 보입니다. 하지만, 위의 결과는 이어 나오는 “Abichou 등은 100% CH4 산화능은 쓰레기매립지 덮개로서 퇴비 바이오-덮개를 사용하면서 도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의 내용과 함께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 중 한 연구자의 결과를 예로 든 것입니다. 내용의 수정이 요구됩니다.
26. Page 5, “Abichou 등은 100% CH4 산화능은” 의 Abichou 의 발표 자료를 본문에 citation 하고,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27. Page 5, “바이오 필터, 바이오 윈도우, 바이오 덮개, 바이오 탑은 등과는 달리 제거될 수 있으며 다시 닫을 수 있고 휴대용 배출 감축 전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는 “Unlike bio-filters, bio-windows and bio-covers, bio-tarps can be removed and re-activated and can serve as a portable emissions reduction strategy.”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상에 오류가 있습니다. 다시 번역해 주시기 바랍니다.
28. Page 6, Fig 를 넣어 달라고 했던 것은 Fig 가 본 문헌 전체의 가장 요약된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그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면 simplify 한 그림을 추가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추가해 달라고 거듭 요청했습니다. 직접 간단한 그림을 추가하는 것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적재산권을 책임지고 싶지 않은 마음이 크시다면 더 이상 포함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겠습니다.
29. Page 6, Reference 에 포함된 문헌이 본문의 특정 내용이 citation 이 어렵다면 - 몇몇 저널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처럼 - 추가로 읽으면 좋을 만한 추천 문헌으로 포함해 주시기 바랍니다. Reference 부분의 모든 문헌은 본문의 어느 부분에 인용되었는지 확인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본문의 특정 부분에 citation 이 어렵고 위와 같이 추천 문헌으로 분류하기 어렵다고 생각되시면 삭제하는 편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의문을 제기하신 본문의 원문인 Ref 1 이 어디에 인용 표시되나 하는 부분은, ref 1 의 경우 KOSEN 에서 분석자에게 요청하는 바와 같이, 번역 원문임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특별한 경우이기 때문에 따로 인용 표시를 하지 않아도 독자가 충분히 이해하리라 판단됩니다.
검토가 늦어져 죄송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한 번 더 수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제목의 리뷰 ? KOSEN 리포트의 대부분의 분석물이 리뷰이므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삭제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분석자가 꼭 포함하고 싶으시다면 그냥 두어도 되겠습니다.
2.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 라는 표현이 분석물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있습니다. Methanotrophic bacteria 의 번역으로 보이는데, 이 표현은 “메탄영양세균”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박테리아라는 단어가 세균으로 번역이 되며 그로 인해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 는 “메탄영양세균 세균”으로 세균이 두 번 사용되는 양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Methanotroph 는 “메탄영양세균”으로 번역이 되지만, Methanotrophic 은 “메탄영양세균의” 가 아니라 “메탄영양을 하는” 으로 번역이 됩니다. 중복된 단어인 “박테리아”를 삭제해 주세요.
3. Page 1, “각종 방법에 의한 배출 감축이 첫째 접근은 대형 위생 쓰레기매립지에 대하여” 의 “감축이” 는 “감축이다.” 의 typo 로 보입니다.
4. Chapter 1 뒤에 본 자료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추가해 달라고 요청했었습니다. 그러한 내용이 있으면 다음 챕터로 넘어가는 것이 부드러울 것 같아 요청했는데, 분석자께서 꼭 넣고 싶지 않으시다면 넣지 않아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5. Page 2, “MMO 는 입자형 CH4 (pMMO) 및 용해성 CH4 (sMMO) 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부분에서 CH4 가 입자형이나 용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MMO 라는 효소가 입자형으로 존재하냐 용해성으로 존재하냐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입자형 CH4 가 pMMO 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입자형 메탄 산화 효소를 의미하는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가 pMMO 를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해당 문장은 “MMO 는 입자형 메탄 일산소첨가효소 (pMMO;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및 용해성 메탄 일산소첨가효소 (sMMO; soluble methane monooxygenase) 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등의 형태로 바뀌어야 합니다.
6. Page 2,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는 낮은 CH4 농도에서 산화를 시작하게 할 수 있는 0.8~280 n mol/L의 낮은 CH4 산화능으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의 표현이 어색합니다.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은 0.8~280 nmol/L의 낮은 CH4 농도에서 산화를 시작하게 할 수 있는 낮은 CH4 산화능으로 특징 지을 수 있다.” 등으로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 Page 2, “고-친화성 변수에서보다”의 변수의 번역이 적절치 못해 보입니다. 변종 또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내용 상 저친화성 메탄영양세균이 고친화성 메탄영양세균보다 더 일반적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8. Page 2, “Gebert 및 Grongroft(2009)는” 에서 참고하신 문헌을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9. Page 2, “Christophersen등은” 에서 참고하신 문헌을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10. Page 3, “형태 Ⅱ” 를 “타입 II” 로 바꿔 주세요. 앞의 내용에 “타입 II”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본문 전체에 걸쳐 일관성을 가지는 것이 독자의 이해를 높이리라 판단됩니다.
11. Page 3, “CH4 산화의 최적 온도보다 높은 30~ 36℃에서 CH4 산화가 억제되었다.” 번역이 잘 못 되었습니다. 30-36 가 메탄산회의 최적 온도인데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보고하였다는 내용입니다.
12. Page 3, “더욱이 메탄영양세균 박테리아에 영양소로 이용 일비물이 뿌리부분으로 방출되어” 에서 “영양소로 이용 일비물이” 는 “영양소로 이용 가능한 일비물이” 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리고 일비물이란 단어가 흔히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연 설명 또는 영문 표기도 필요하다 판단됩니다.
13. Page 3, “공학적 생물학적 처리시스템에서 질소 및 인이 오르토인산염(에스테르) 및 NH4+ 형태로 추가되고 있다.” 에서 “공학적” 은 engineered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공학적이라기 보다 무언가 인위적으로 조작된(가공된 또는 처리된)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의 의미가 더 맞다고 판단됩니다.
14. Page 3, “NH4+≥4mM(millimolar)에서” 의 “(millimolar)” 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15. Page 4, “CH4 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한하는 인자이다” 의 “제한하는” 의 “하는”은 불필요해 보입니다. “제어하는 제한인자이다”로 바꿔 주세요.
16. Page 4, “CH4 산화 최대 깊이는 50~60 cm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원문에서 최적 메탄 산화능을 보이는 토양의 깊이는 연구자에 따라 15-40, 50-60, 10-30, 0-10 cm 등 굉장히 다른 범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50-60 이라고 특정 지어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17. Page 4, “칼럼 분석에서 CH4 공급률 및 배치 분석 갈등의 공간에서 CH4 농도는, 흙 수분 함량 및 CH4 산화 용량에서 온도 모두의 영향 때문에 저 및 고 CH4 산화에 대하여 상이함이 발견되었다.” 는 “They found that the CH4 supply rate in column assays and the CH4 concentration in the headspace of batch assays conflicts were different for low and high CH4 oxidation capacities, due to the effects of both soil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on the CH4 oxidation capacity.”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이 잘못되었습니다. 컬럼 실험에서는 메탄을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합니다. 그러므로 메탄을 공급하는 속도(율)가 반응계의 메탄 농도를 결정하고, 배치(회분식) 실험에서는 용기 상단의 공기층의 메탄 농도가 반응계의 메탄 농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메탄 농도의 (공급의) 차이가 메탄산화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8. Page 4, “생물학적 시스템은 쓰레기매립지 부지의 사후폐쇄 및 사후관리프로세스 중 가스 수집 시스템이 경제적 선택이 아닌 소규모 쓰레기매립지 부지에서, 오래된 쓰레기매립지의 CH4배출을 걸러내기 위한 가스 수집 시스템에 추가하여 쓰레기매립지의 여러 가지 응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은 “Biotic systems can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in landfills, in addition to gas collection systems for trapping CH4 emissions at old landfills, at small landfill sites at which gas collection systems are not economical options and during landfill site postclosure and aftercare processes.”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만 번역이 잘못되었습니다. 생물학적 시스템이 다양한 매립지에 적용이 가능한데, 그 예가 오래된 매립지, 작은 매립지, 그리고 사용완료 과정 중이거나 사후 관리 중인 매립지입니다. 거기에 오래된 매립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작은 매립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19. Page 4, “바이오-필터의 재료는 주로 바이오 쓰레기로부터 토탄, 퇴비, 야생화, 조각난 나무껍질 및 톱밥과 같은 생물유래의 물질이 이용된다.” 는 “Bio-filter materials are primarily of biological origin, such as peat, compost from bio-waste, heather, shredded bark and sawdust.”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이 조금 잘못되어 있습니다. 예로 들어진 생물 유래 물질은 토탄, 바이오쓰레기로부터의 퇴비, 등등 입니다.
20. Page 4, “바이오 필터는 높은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촉진시키기 위한 물 저장 능력” 에서 “높은”은 “생물학적 프로세스”가 아닌 “물 저장 능력”을 수식해야 합니다.
21. Page 4, “LFG의 보유 시간에 아주 크게 의존한다” 에서 사용된 “보유 시간” 보다 “체류 시간”이 더 적합할 듯 보입니다.
22. Page 5, “유동 공동 기술 및 지오 통계분석을 이용한 쓰레기매립지 덮개 흙으로부터 CH4배출의 공간적 다양성 측정은 쓰레기 매립지 안에서 CH4 배출 과열 점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는 “Measurements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CH4 emissions from landfill cover soils using the flux chamber technique and geo-statistical analysis are used to identify CH4 emission hot spots within a landfill.”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문장 구조상 “유동공동기술 및 지오통계분석을 이용한” 이 “덮개 흙”을 수식하는 것으로 이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문장의 재배열이 필요하다 판단됩니다. 그리고 유동공동기술과 지오통계분석 등의 특별한 단어들은 일반적인 단어라 하기 어려우므로 영문 표기를 병행하는 편이 이해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23. Page 5, “가스 시스템이 바이오- 필터 시스템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취합시스템이 없을 때 유용하다” 에 가스 시스템이 라는 표현이 두 번 반복되었습니다.
24. Page 5, “전형적인 바이오-덮개 시스템은 폐기물 위에 아주 많은 다공성 가스 분포 층, 가끔은 자갈 또는 깨진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정된 퇴비 층이 있다.” 중 “다공성 가스 분포 층”의 분포는 distribution 의 번역으로 보이나 분포라는 의미 보다는 분배(골고루 퍼지게 하는) 하는 개념이 더 맞습니다. 그리고 “수정된 퇴비 층” 은 “퇴비로 보강된 (채워진 등) 층” 등의 의미가 더 맞는 표현이라 판단됩니다. 그리고, 설명을 통해 어떤 순서로 층이 구성되는지 알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설명만으로는 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Fig 6 을 참고하시어 다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문장의 시작인 “가스 분포 층”도 분포가 아닌 다른 단어가 사용되어야겠습니다.
25. Page 5, “수많은 연구자들이 바이오-덮개 시스템을 사용하여 대기로의 쓰레기매립지 CH4 배출을 줄이려고 노력하여서 맥주공장 사용알갱이 및 퇴비 재료의 비가 7:3일 때 CH4 산화가 100%에 도달함을 발견하였다.” 이 문장은 마치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여 찾은 최종 결과가 위 두 물질을 7:3 으로 조합 했을 때 가장 좋은 효율을 보였다.”로 보입니다. 하지만, 위의 결과는 이어 나오는 “Abichou 등은 100% CH4 산화능은 쓰레기매립지 덮개로서 퇴비 바이오-덮개를 사용하면서 도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의 내용과 함께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 중 한 연구자의 결과를 예로 든 것입니다. 내용의 수정이 요구됩니다.
26. Page 5, “Abichou 등은 100% CH4 산화능은” 의 Abichou 의 발표 자료를 본문에 citation 하고, reference 에 추가해 주세요.
27. Page 5, “바이오 필터, 바이오 윈도우, 바이오 덮개, 바이오 탑은 등과는 달리 제거될 수 있으며 다시 닫을 수 있고 휴대용 배출 감축 전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는 “Unlike bio-filters, bio-windows and bio-covers, bio-tarps can be removed and re-activated and can serve as a portable emissions reduction strategy.” 의 번역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번역상에 오류가 있습니다. 다시 번역해 주시기 바랍니다.
28. Page 6, Fig 를 넣어 달라고 했던 것은 Fig 가 본 문헌 전체의 가장 요약된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그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면 simplify 한 그림을 추가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추가해 달라고 거듭 요청했습니다. 직접 간단한 그림을 추가하는 것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적재산권을 책임지고 싶지 않은 마음이 크시다면 더 이상 포함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겠습니다.
29. Page 6, Reference 에 포함된 문헌이 본문의 특정 내용이 citation 이 어렵다면 - 몇몇 저널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처럼 - 추가로 읽으면 좋을 만한 추천 문헌으로 포함해 주시기 바랍니다. Reference 부분의 모든 문헌은 본문의 어느 부분에 인용되었는지 확인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본문의 특정 부분에 citation 이 어렵고 위와 같이 추천 문헌으로 분류하기 어렵다고 생각되시면 삭제하는 편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의문을 제기하신 본문의 원문인 Ref 1 이 어디에 인용 표시되나 하는 부분은, ref 1 의 경우 KOSEN 에서 분석자에게 요청하는 바와 같이, 번역 원문임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특별한 경우이기 때문에 따로 인용 표시를 하지 않아도 독자가 충분히 이해하리라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