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Mass Spectrometry-Based Proteomics for Pre-Eclampsia and Preterm Birth

    분야

    보건의료

    개최일

    2015. 5. 14

    신청자

    이상후(sprout30)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An Overview of Proteomic Technologies
3. Top-Down Proteomic Profiling by Laser Mass Spectrometry
4. Top-Down Peptidomic Profiling by Liquid Chromatography and Capillary Electrophoresis Mass Spectrometry
5. Bottom-Up Quantitative Proteomics
6. Comments
7.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임신중독증(전자간증)이나 조산 같은 임산 관련된 합병증이 전세계적으로 건강 위협 요소중에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전자간증은 임신에 의해 유발된 특징적인 고혈압 질환인데, 전세계적으로 산모 사망의 중요한 원인중에 하나며 태아 성장 및 조숙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1500만명의 신생아가 조산으로 태어나지만 이중에서 약 100만명 이상이 생후 1달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현재 임신중독증과 관련된 합병증 진단에 유용한 예측 검사도 없는 상태이며 이 질병의 생물학적인 메커니즘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질량 분석기 기반 단백질체학이 관련된 생체 표지자 발굴을 위해 필요하다. 이 리뷰에서는 임신 관련된 합병증 연구에 사용된 질량분석기 기반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레이져 질량분석기에 의한 하향식 단백질체학 및 펩타이드체학 프로파일링, 질량분석기가 연결된 액체크로마토 그래피 또는 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에 의한 상향식 정량 단백질체학 및 표적 단백질체학 등이 단백질 생체 표지자와 임신 관련된 합병증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적용되었다. 조사된 매질은 혈청, 뇨, 양수, 자궁-질 액, 양수조직 및 세포성 영양 모세포 등이었고, 건강한 대조군과 임신 합병증이 있는 환자와의 비교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임상에서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임신 관련된 합병증 진단의 효과성 등에 대해서도 응용 가능성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