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분석물 검토 소견

1차 분석 소견

핵심을 요약하고, 전반적으로 분석을 잘 해 주셨습니다.

분석물을 여러번 읽어보고, 원문과 대조해 보았을 때, 내용 전달이 다소 자연스럽지 못한 몇몇 부분이 있습니다.

말씀 드리는 부분 (부분 예시)와 첨부파일을 참조하셔서 전반적으로 좀 더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다듬어 주셨으면 합니다.

분석과 검토를 거듭하면서 항상 고민되는 부분은 적절한 용어의 사용입니다.

그래서,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 대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사전 검색 및 확인을 통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고 실제로 널리 호용되는 단어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분석자께서 판단하시기에 더 확실하다 생각되시면, 그 단어 및 표현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적확한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할 때, 분석물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분석물을 접하는 사람들의 이해 또한 높아 질거라 생각됩니다.

1)heterogeneity: 이질성--->비균질성 (동의어 중 보다 암의 특질에 관한 내용전달이 분명한 단어 사용)

2)epigenetic: 후생적--->후성적 / 후성 유전학적 (동일어 중 널리 호용되는 단어 사용)

3)2.성인의 장: 줄기세포에 의해 유지되는 복합한 환경
…...
연구 초기에 ISC 두 집단은 서로 다른 기능적 활성을 가지는 줄기세포 집단으로 알려졌지만 이후의 연구에서LGR5+ 세포 역시 +4 세포 마커를 발현함이 밝혀졌다.

이 부분은 대장암 줄기세포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한 ISCs (장 줄기세포)의 정의 및 최신 지견에 대해 다루는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ISCs에 대한 주요 reivew를 근거로 하여,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주어야 할 듯 합니다.
--->
<장: 줄기세포에 의해 유지되는 복합환경>
……..
LGR5+ 증식세포는 장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하지만, +4 (BMI+) 휴지세포는, LGR5+ 줄기세포군을 재생하기 위한 예비 줄기세포로 여겨졌다. 하지만, LGR5+ 증식세포가 LGR5+ 및 +4 표지인자를 모두 발현하는 파네스세포에서도 발견되었고, 상처치유를 위해 줄기세포군의 성질을 가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후 계통 추적 실험과 LGR5 형질전환동물 실험을 통해, ISC의 비균질성과 역동성이 제기되었다.


4)transducer: 변환기---> 전달자 혹은 적합한 단어가 없으면 번역을 안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잘 아시는 것 처럼, Hippo 신호에서 YAP/TAZ는 인산화에 따라 활성/비활성 형태로 세포질과 핵내 존재함으로써 Hippo 신호를 “전달” (유전학분야에서 transduction은 유전물질의 ‘전달’ 또는 "도입" 이라는 단어로 쓰는 게 더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하는 핵심인자입니다.
따라서, 'Hippo transducer YAP/TAZ...... ‘ 부분을 "Hippo 신호 전달자인 YAP/TAZ는 b-catenin 분해 복합체의 구성요소이면서, 핵 내로의 이동이 Wnt/b-catenin 신호 활성화에 필수 인자이다.” 정도면 어떨까 합니다.

5)6.대장 CSCs 조절에 관하는 신호
CRC 내 WNT/b-catenin과 TGF-b 기전은 대장암을 촉진시킨다. TGF-b superfamily 멤버, BMPs는 정상 그리고 신생 ISCs(neoplastic ISCs)를 조절한다. 특히, BMP2와 BMP4는 대장 CSC 조절에 특이적으로 관여한다 알려졌다.
---> BMP 신호는 Wnt/b-catein 신호를 억제하고,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CRC CSC를 조절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므로, 이 부분을 유념해서 다시 정리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6)배상세포---> 고블렛세포 (술잔세포, goblet cell)

7)비정상적인 신호 (noncanonical signals)? ---> '비정상 신호’ 비정형 신호가 정확한 표현이지만, 문맥상 ‘비정상신호’ 가 적절해 보입니다.

8)stemnees --->줄기세포능 / 줄기세포성 중 하나로 일관되게 사용

9)CSC는 CRC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매력적인 표적이다.

---> CSC를 직접적으로 표적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다. 1) 자가재생 경로 저해 2) 세포생존 및 대사 경로 방해, 3) 분화경로 활성화, 4) 미세환경 보호

10)단락 마지막 부분에 다음의 요약 내용을 삽입하는 게 필요해 보입니다.

--->요약하자면, CRC에서의 CSC 비중이 CSC 유도인자 (pro-CSC factor)와 CSC 억제 인자 (anti-CSC factor)의 상대적 비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림 2).

11)10.단락부분. 마지막에 CSC의 정량 문제 및 전체 내용을 요약하는 핵심 문구 삽입 필요 (다음은 하나의 예시)

---> “이식 효율, CSCs 표지인자의 부재 및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 CSCs를 정량화가 하나의 관건이다. CRC 환자로부터 얻은 CSC 관련 정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실험 모델의 한계와 논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12)결론 부분

CSCs 자연계에 대한 초기 가설은 미세환경 신호에 암세포가 계속적으로 적응하면서 발생한 줄기세포능이 어디서 유래되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기면서 무너졌다.

--->CSCs 본질에 대한 초기 가설은, 줄기세포능이, 암세포군이 미세환경 신호에 지속적으로 적응한 결과라는 새로은 시각이 생기면서 무너졌다.

13)결론부분

정상 그리고 신생 장 모두에서 줄기세포능은 세포-본질적 특성, 국소적 신호, 확률적 이벤트, 그리고 줄기세포 pool 형성을 위한 계속적인 압력의 끊임없는 전환에서 유래된다.

--->정상 및 종양 발생 장에서, 줄기세포능은 세포의 본질적 특성 (유전적 돌연변이, 후성유전학적 조절), 국소적 신호 (화학적, 물리적, 분자적 성질), 확률요소, 줄기세포군을 지속적으로 갖추려는 군집력 (population forces)의 끊임없는 축적(또는 수렴)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