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사항
2015-08-17
org.kosen.entty.User@1e0ac425
김수진(mauvepale)
먼저 분석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전반적으로 핵심적 내용을 중심으로 잘 분석해주셨습니다만, 몇 가지 검토사항 말씀드립니다.
1. 서론에서 ML이 유전체 분석에 있어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몇몇 연구의 예시와 특히 유전체 분석 연구에 있어 ML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약간 더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 각 섹션마다 대표 할 만한 주요 참고문헌을 기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서론부분에서 ML 관련하여 일반적 내용 or ML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참고 할 수 있는 Mitchell, T. Machine Learning (McGraw-Hill, 1997) 등과 같이 섹션마다 각 topic에 대한 대표적으로 참고할 만한 주요 문헌을 1개 이상씩 기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서론, 섹션 3과 섹션 4)
3. (섹션 3). 지도학습과 자율학습, (섹션 4). 생성모델과 식별모델, (섹션 5). 데이터의 이질성에서 유전체 분석에 있어서 각 모델기법들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구체적 예시를 언급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Keyword도 몇 개 더 추가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핵심적 내용을 중심으로 잘 분석해주셨습니다만, 몇 가지 검토사항 말씀드립니다.
1. 서론에서 ML이 유전체 분석에 있어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몇몇 연구의 예시와 특히 유전체 분석 연구에 있어 ML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약간 더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 각 섹션마다 대표 할 만한 주요 참고문헌을 기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서론부분에서 ML 관련하여 일반적 내용 or ML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참고 할 수 있는 Mitchell, T. Machine Learning (McGraw-Hill, 1997) 등과 같이 섹션마다 각 topic에 대한 대표적으로 참고할 만한 주요 문헌을 1개 이상씩 기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서론, 섹션 3과 섹션 4)
3. (섹션 3). 지도학습과 자율학습, (섹션 4). 생성모델과 식별모델, (섹션 5). 데이터의 이질성에서 유전체 분석에 있어서 각 모델기법들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구체적 예시를 언급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Keyword도 몇 개 더 추가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