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Metabolomics in chemical ecology

    분야

    화학

    개최일

    2015년 4월

    신청자

    김동현(shark118)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The comparative metabolomics approach
2.1 Comparative metabolomics in plant sciences
2.2 Comparative metabolomics in marine science
2.3 Comparative metabolomics in nematode research
2.4 Comparative metabolomics unravels pheromones in
social insects
2.5 MS/MS networking in comparative metabolomics
3 The systems biology approach
4 The comprehensive metabolome approach
5 Conclusions
6 Acknowledgements
7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화학 생태학은 천연물의 역할과 특징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대사체학의 발전은 이러한 환경에 관련된 시그날 물질들을 연구하는데 큰 기회를 제공한다. 대사체학은 특히 대사 상호작용 중 조절되는 대사물질의 동정을 가능케 하므로 전통적인 생물검정법을 사용한 물질 동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대사체학은 다른 오믹스 데이터와도 통합이 가능하므로 생태학적 반응을 연구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 생태계에서의 대사체학 적용 사례들과 새로운 기술들의 한계점을 토론하였으므로 생태학에서 식물을 다루는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