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검토 의견 3

많이 개선되도록 노력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만 여전히 오역된 부분들이 많습니다. 분석하신 분께서 이 논문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을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드는 부분들도 있었습니다.

1. 오역되거나 어색하게 번역된 부분들을 아래와 같이 열거하니 다시 수정하여 주세요.
(1 페이지)
지난 몇십 년 동안 전기화학과 전극의 기능화는 나노물질 기반 층층구조(LbL) 필름 증
착 기술의 출현과 함께 다양하게 창조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는 이미 나노기술이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어 많은 일상생활에서 이용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2~4].
LbL 기술에는 자동적으로 서로 작용하며 2가지 형태로 되어 있는 기질 위에서 수행되는 연속적인 증착이 있다.
(2 페이지)
고분자 전해질 다층구조는 고분자 양이온, 고분자 음이온 및 counter이온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3 페이지)
코발트가 있는 bis-terpyridine 일부분을 기반으로 하는 MEPE는 그 광학적 특성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훌륭한 안정성과 1초의 스위치 시간을 가진 16%의 광학 대조로 변환되었다[33].
(4 페이지)
적용된 능력 하에서,
(6 페이지)
전기화학 부식 공정은 항부식 저해제를 유출시키기 위해 유발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국소적인 pH 제작을 말한다.
DNA가 NO 처리에 의해 처음으로 손상을 입었을 때 정전기적 전류는 DNA 손상을 유발하는 간접적인 센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을 감소시켰다[74].
(7 페이지)
LbL 연구에 앞서 기본적인 관점에서부터 전기적 고분자반응은 분자 측정이 가능한 이미 하나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 내부적인 전기적 고분자반응은 바뀔 수 있는 형태와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기질에 고분자 필름의 일률적인 접근을 제공한다[95].
(8 페이지)
카바졸과 비닐(vinyl)과의 전기적 고분자 반응의 결합은 산화 및 환원적 전기화학 반응을 교체하여 one-pot LbL이 고정화된다[102].
(9 페이지)
카바졸 커플링과 ECC-LbL은 작은 분자, 고분자, 금속 복합체, 그리고 나노입자들을 원하는 작은 필름 안으로 기능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는 많은 물질들을 웰(well)층이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필름 안으로 역시 결합시킬 수 있다.
Cumetal는 클릭반응을 촉매화시켜 자동적인 클릭화학반응 통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지만[109~112], Cumetal 형성은 Cu(II)가 bis(bathophenanthroline) disul-fonic acid[113, 114]과 같은 안정화된 리간드(ligands)와 결합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10 페이지)
전기클릭의 효율을 쉽게 검출할 수 있게 한 전극을 가진 활성화 그룹의 접근 때문에
Human IgG가 기능화된 알킨(alkyne)의 전기클릭을 위한 이상적인 표면을 제공하여 페닐아지드(phenylazide)는 다이아조니움(diazonium)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해 유리 탄소 표면에 고정화하였다[119].
(11 페이지)
구리 이온이 기능화된 경사도를 만드는데 아주 많은 장점을 가지고 명확한 해상도를 가지는 패터닝에 대해서는 있지만 구리 이온의 확산은 하나의 이슈가 되고 있다. Hansen et al.은 마스크된 구리 전극이 부분적으로 공간적으로 분해된 전기클릭을 위해 사용되는 Cu(II) 이온을 생산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131].
현재 많은 연구들이 개념의 근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전기클릭은 새롭게 시도되는 연구로서 다음 세대의 계면의 나노물질에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2. 조사가 잘못 쓰여진 부분들이 여럿 있습니다. 읽을 때 자연스럽게 읽혀지도록 수정해 주세요.

3. Aonodp는 Aono로 수정해야 겠죠.

4. 약어가 처음 나올 때는 반드시 원래 명칭이 나오고 바로 뒤 괄호 안에 약어가 나오도록 수정해 주세요. (여러군데 보임)

5. 주어가 사물이면 문장은 수동형으로 해야 자연스럽습니다.

6. '약 유출'은 '약물 방출'로 수정하세요.

7. 'et al.'은 '등'으로 수정하세요.

8. '제작'이란 단어를 적절치 않은 여러군데에 사용했는데 다시한번 점검하여 적절한 단어로 바꿔 주세요.

9.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약어가 이상합니다.

10. '수퍼커페시터'는 '슈퍼커패시터'로 수정하세요.

11. 'thin'은 '작은'이 아닌 '얇은'으로 번역해야겠지요.

12. 'organize'는 '기능화'가 아닌 '조직화'가 더 적합합니다.

13. 'free-standing'은 '자유지지'로 번역합니다.

14. 'spontaneous'는 '자발적인'이 더 적절합니다.

15. '경사도'는 '구배'로 바꾸세요.

16. '스케닝'은 '주사'로 바꾸세요.

17. 결론부의 '전기망상 구조 과정', '표면 플랫폼 s', '고분자 전해질이라는 코팅' 등도 어색한 번역들입니다.

일단 눈에 띈 것들을 정리하긴 했지만 그 외에도 다시 한번 꼼꼼히 재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