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ut microbiota and host health: a new clinical frontier
2015-09-24
org.kosen.entty.User@64146121
이승준(fovero)
분야
보건의료
개최일
September 2, 2015
신청자
이승준(fovero)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GUT MICROBIOTA
What do we know about the gut microbiota?
3. DIETARY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
3-1) Metabolic activities of the gut microbiota
3-2) Three ‘P’s’ for gut health: probiotics, prebiotics and polyphenols
4. OBESITY-RELATED DISEASES AND THE GUT MICROBIOTA
5. LIVER DISEASE AND THE GUT MICROBIOTA
5-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5-2) Alcoholic liver disease
5-3) Autoimmune liver diseases
5-4) Modulation of the microbiota as a therapy in liver disease
6. IBD AND THE GUT MICROBIOTA
6-1) Modulation of the microbiota as a therapy in IBD
6-2) Ulcerative colitis
6-3) Crohn’s disease
6-4) Pouchitis
7. CRC AND THE GUT MICROBIOTA
8. CONCLUSIONS
2.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GUT MICROBIOTA
What do we know about the gut microbiota?
3. DIETARY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
3-1) Metabolic activities of the gut microbiota
3-2) Three ‘P’s’ for gut health: probiotics, prebiotics and polyphenols
4. OBESITY-RELATED DISEASES AND THE GUT MICROBIOTA
5. LIVER DISEASE AND THE GUT MICROBIOTA
5-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5-2) Alcoholic liver disease
5-3) Autoimmune liver diseases
5-4) Modulation of the microbiota as a therapy in liver disease
6. IBD AND THE GUT MICROBIOTA
6-1) Modulation of the microbiota as a therapy in IBD
6-2) Ulcerative colitis
6-3) Crohn’s disease
6-4) Pouchitis
7. CRC AND THE GUT MICROBIOTA
8.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최근 10여년간, 사람의 장 미생물총 구성과 기능에 대한 이해는 엄청난 수준으로 증가했다. 상당부분, 미생물 군집의 유전, 대사 프로파일을 대규모로 분석 가능케 해준 새로운 “-체(-omic)” 기술의 진보 덕분이었다. 이제는 장 미생물총이 숙주와 조화롭게 작용하면서, 우리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때로는 병을 유발하기도 하는 세포집합체라 여겨진다. 우리 몸의 새로운 장기라 할 수 있는 장 미생물총의 역할은 면역체계에 견줄만 하고, 질병 치료 중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분석물은 장 미생물총과 대사 및 비만 관련 장 질환, 간 질환, 염증성 장질환(IBD), 대장암의 상관관계에 관한 최신 지견을 다루고 있다.
또한, 항생제, 프로바이오틱스(활성균), 프리바이오틱스 (활성균 활성 조절 식이성 인자들; 식이섬유 등), 폴리페놀 및 분변 미생물총 이식(FMT)을 통한 장 미생물총 조절이 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미치는 최신 연구 결과에 대해 잘 정리해 두고 있어, 관심있는 연구자 및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생제, 프로바이오틱스(활성균), 프리바이오틱스 (활성균 활성 조절 식이성 인자들; 식이섬유 등), 폴리페놀 및 분변 미생물총 이식(FMT)을 통한 장 미생물총 조절이 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미치는 최신 연구 결과에 대해 잘 정리해 두고 있어, 관심있는 연구자 및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