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induced pluripotency
2015-10-12
org.kosen.entty.User@2270e4ed
김용준(kyjaloge)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Oct 1, 2015
신청자
김용준(kyjaloge)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Introduction
Pluripotency in vivo and in vitro
Several routes to pluripotency: mechanisms of cell reprogramming
Transition between mesenchymal and epithelial fates during differentiation and reprogramming
miRNA circuits regulate reprogramming and development
Transient expression of developmental genes during reprogramming
In and out of pluripotency: epigenetic regulation
Telomere elongation during development and reprogramming
Comparing iPSCs and ESCs
Conclusions
Pluripotency in vivo and in vitro
Several routes to pluripotency: mechanisms of cell reprogramming
Transition between mesenchymal and epithelial fates during differentiation and reprogramming
miRNA circuits regulate reprogramming and development
Transient expression of developmental genes during reprogramming
In and out of pluripotency: epigenetic regulation
Telomere elongation during development and reprogramming
Comparing iPSCs and ESCs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유도만능줄기세포기술 및 관련지식의 이용/응용은 이제 '줄기세포분야'라는 명칭이 무색할 정도로 선천성질환, 종양, 퇴행성질환등의 연구에서부터 신약개발까지 다양한 분야, 다양한 방면에 걸쳐 필수불가결한 기술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인체적합성/안전성/안정성에 관련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많은 부분들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가장 큰 목적인 인체에의 직접적인 이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에서의 세계최초 줄기세포유래 망막조식 이식연구 실패사례등). 이러한 유도만능 줄기세포 연구와 이용의 현 시점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고자 한다면, 실제 생명체에서의 발생/발달과정과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생/발달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 해결되어야 할 개선점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인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이에 따라,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가능성을 보고함으로써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Yamanaka 박사와 역시 줄기세포분야의 권위자인 Takahashi 박사가 작성한 본 총설은 현재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연구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 및 산업계 종사자들에게 각 분야에의 줄기세포 이용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폭넓게 알려줄 수 있는 좋은 설명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