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cellular matrix structure
2015-11-30
org.kosen.entty.User@88b8161
김정실(initial)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2015.11.10 online
신청자
김정실(initial)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Types of extracellular matrices: structure and properties
2. ECM components: structure, interactions and functions
2.1. Proteoglycans and hyaluronan
2.1.1. Hyaluronan
2.1.2. Proteoglycans
2.2. Collagens
2.2.1. Fibrillar collagens
2.2.2. Network-formingcollagens
2.2.3. FACITs
2.2.4. MACITs
2.2.5. Anchoring fibrils
2.2.6. Beaded-filament-forming collagens
2.2.7. MULTIPLEXIN
2.3. Elastin and elastin-associated proteins
2.4. Fibronectin
2.5. Laminins
2.6. Matricellular proteins: members, interactions, functions, and roles in cancer
3. Extracellular matrix proteases
3.1. Matrix metalloproteases
3.2. Plasminogen/plasmin system
3.3. Cathepsin proteases
4. Extracellular matrix receptors
4.1. Integrins
4.2. Discoidin domain receptors
4.3. CD44
5. Extracellular matrix targeting: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6. Conclusion
2. ECM components: structure, interactions and functions
2.1. Proteoglycans and hyaluronan
2.1.1. Hyaluronan
2.1.2. Proteoglycans
2.2. Collagens
2.2.1. Fibrillar collagens
2.2.2. Network-formingcollagens
2.2.3. FACITs
2.2.4. MACITs
2.2.5. Anchoring fibrils
2.2.6. Beaded-filament-forming collagens
2.2.7. MULTIPLEXIN
2.3. Elastin and elastin-associated proteins
2.4. Fibronectin
2.5. Laminins
2.6. Matricellular proteins: members, interactions, functions, and roles in cancer
3. Extracellular matrix proteases
3.1. Matrix metalloproteases
3.2. Plasminogen/plasmin system
3.3. Cathepsin proteases
4. Extracellular matrix receptors
4.1. Integrins
4.2. Discoidin domain receptors
4.3. CD44
5. Extracellular matrix targeting: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6.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본 리뷰논문은 콜라겐, 프로테오글라이칸/클리코사미노글리칸, 엘라스틴, 섬유결합소(파이브로넥틴), 라미닌 등 당단백질로 구성된 비세포성 3차원 마이크로분자 네트워크인 세포외기질의 구조에 관한 논문이다.
모든 조직과 기관에 있는 세포들과 복잡한 구조를 이루며 각 구성요소들이나 세포부착수용체들이 서로 결속되어 있는데, 세포표면수용체는 세포외기질로부터 세포로 생존, 성장, 이동, 분화 등과 같은 신호를 전달한다. 세포외기질은 굉장히 동적인 구조의 네트워크로 정상상태와 병적상태 모두에서 끊임없이 효소들에 의해 리모델링이 일어나는데,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구조에 대한 규제완화는 여러 병적상태의 발단과 진전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다분화능을 이해하기 쉽도록 복잡한 세포외기질의 구조에 대해 정리하였기에, 세포외 기질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여러 연구자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것으로 생각되어 검토를 추천한다.
모든 조직과 기관에 있는 세포들과 복잡한 구조를 이루며 각 구성요소들이나 세포부착수용체들이 서로 결속되어 있는데, 세포표면수용체는 세포외기질로부터 세포로 생존, 성장, 이동, 분화 등과 같은 신호를 전달한다. 세포외기질은 굉장히 동적인 구조의 네트워크로 정상상태와 병적상태 모두에서 끊임없이 효소들에 의해 리모델링이 일어나는데,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구조에 대한 규제완화는 여러 병적상태의 발단과 진전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다분화능을 이해하기 쉽도록 복잡한 세포외기질의 구조에 대해 정리하였기에, 세포외 기질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여러 연구자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것으로 생각되어 검토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