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in acetylation in metabolism ― metabolites and cofactors
2015-12-18
org.kosen.entty.User@2cedb32
김병규(goldenlion)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27 Oct 2015
신청자
김병규(goldenlion)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Reversible acetylation in metabolism
2. KDACs in energy metabolism
3. Acetyltransferases in energy metabolism
4. Energy state, metabolites and cofactors NAD+
5. Subcellular distribution of NAD+ and NADH
6. Biosynthesis of NAD+
7. Non-sirtuin NAD+ consumers
8. Metabolic and circadian changes in NAD+
9. NAM
10.Acetyl-CoA
- Acetyl-CoA in acetylation and deacetylation.
- Subcellular distribution of acetyl-CoA.
- Acetyl-CoA biosynthesis
- Acetyl-CoA and malonyl-CoA
- Metabolic changes in acetyl-CoA.
11. Coenzyme A
12. Zinc
13. Butyrate and β-hydroxybutyrate
14. Future perspectives
Conclusions
2. KDACs in energy metabolism
3. Acetyltransferases in energy metabolism
4. Energy state, metabolites and cofactors NAD+
5. Subcellular distribution of NAD+ and NADH
6. Biosynthesis of NAD+
7. Non-sirtuin NAD+ consumers
8. Metabolic and circadian changes in NAD+
9. NAM
10.Acetyl-CoA
- Acetyl-CoA in acetylation and deacetylation.
- Subcellular distribution of acetyl-CoA.
- Acetyl-CoA biosynthesis
- Acetyl-CoA and malonyl-CoA
- Metabolic changes in acetyl-CoA.
11. Coenzyme A
12. Zinc
13. Butyrate and β-hydroxybutyrate
14. Future perspectives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DNA 접근성을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기작연구에서 가역적 아세틸화가 처음 소개된 이후, 히스톤 및 비-히스톤의 아세틸화 관련 인자들이 다양한 종의 대사과정, 일주기 활동 및 세포 주기에 관여하는 유전자 조절의 핵심 연구영역으로 부상하고 있고, 건강 혹은 질병과 관련된 lysine acetyltransferases (KATs) 와 deacetylases (KDACs)들의 조절하는 기작에 다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단백질 혹은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비만, 당뇨, 신경변성질환, 암 등과 같은 많은 공통 질병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관련 질환과 지질 영양 이상증 과 같은 휘귀 질환들에 연관성이 높다.
본 리뷰에서는 대사조절에서의 가역적 아세틸화의 조절 그리고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icotinamide, coenzyme A, acetyl coenzyme?A, zinc 그리고 butyrate (혹은 β-hydroxybutyrate)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KAT 나 KDAC 들 (세포와 생물의 항상성 적응을 위한 에너지 상태들과 관련성이 있는) 의 활성을 조절하는 대사체들과 보조인자들의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를 들어 설명 할 것이다.
단백질 혹은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비만, 당뇨, 신경변성질환, 암 등과 같은 많은 공통 질병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관련 질환과 지질 영양 이상증 과 같은 휘귀 질환들에 연관성이 높다.
본 리뷰에서는 대사조절에서의 가역적 아세틸화의 조절 그리고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icotinamide, coenzyme A, acetyl coenzyme?A, zinc 그리고 butyrate (혹은 β-hydroxybutyrate)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KAT 나 KDAC 들 (세포와 생물의 항상성 적응을 위한 에너지 상태들과 관련성이 있는) 의 활성을 조절하는 대사체들과 보조인자들의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를 들어 설명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