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ies for single-cell isolation
2016-01-04
org.kosen.entty.User@2189d5e5
이대식(handasom1)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Marke Study of Single-Cell Technologies
3. Single-Cell Isolation Technologies
3.1. Flow cytometry
3.2.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3.3. Limiting Dilution
3.4. Manual Cell Picking
3.5. Microfluidics
4. Patent Search for Single-Cell Separation Technologies
5. Future Potential of Single-Cell Technologies
6. Discussion
6.1. General Aspects
6.2. Flow Cytometry
6.3.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6.4. Micromanipulator
6.5. Limiting Dilution
6.6. Microfluidics
6.7. Patents and Emerging Technologies
7. Conclusions
2. Marke Study of Single-Cell Technologies
3. Single-Cell Isolation Technologies
3.1. Flow cytometry
3.2.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3.3. Limiting Dilution
3.4. Manual Cell Picking
3.5. Microfluidics
4. Patent Search for Single-Cell Separation Technologies
5. Future Potential of Single-Cell Technologies
6. Discussion
6.1. General Aspects
6.2. Flow Cytometry
6.3.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6.4. Micromanipulator
6.5. Limiting Dilution
6.6. Microfluidics
6.7. Patents and Emerging Technologies
7.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단일 세포 제어는 세포주 개발 혹은 부각되는 진단 방법 혹은 암연구를 위한 단일 세포분석과 같은 응용 분야에 매우 중요하다. 본 리뷰는 현재 사용되거나, 개발 중인 부차적인 단일 세포 분ㅅ겅르 위한 단일 세포들을 분류 기술들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가장 적절한 기술이라고 온라인 시장 분석을 통해 알려진 데이타를 처음으로 제공하고 있다. 즉 유속세포분리기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가 33%사용되고, 레이져 미세절단시스템 (laser microdissection)이 17%이고, 인위적 세포 포집이 17%dlrh, 임의적 seeding/dilution이 15%이고, microfluidics/lab-chip이 12%인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들이다. 가장 유망한 기술들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주요 성능 지표가 논의되었다. 조사 자료들에서, 미래를 위한 단일세포 분리 소자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부가적으로 미래에 적합한 뜨고 있는 기술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위해 전세계적인 특허 서치가 실시되었다. 전체 179개의 특허에서, 25개에서 이 분야에 적절한 초촉및 제목이라고 평가되었다. 본 리뷰는 새로운 진단 툴 혹은 암연구를 위한 단일 세포분석과 같은 응용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 및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