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istent γH2AX: A promising molecular marker of DNA damage and aging
2016-01-11
org.kosen.entty.User@5fdfdb58
장성재(sjsjj)
행사&학회소개
- Introduction
- Bibliographic search
- γH2AX detection methods
- Long-term persistence of residual gamma-H2AX
- Perssitent γH2AX in human cells
- Persistent γH2AX in mouse cells and tissues
- Persistent γH2AX in cells and tissues of other animals
- Persistence of gamma-H2AX associated with telomeres
- Senescence-associated persistence of gamma-H2AX
- γH2AX responses in aging
- Consideration of persistent gamma-H2AX for future method development
- Conclusion
- Bibliographic search
- γH2AX detection methods
- Long-term persistence of residual gamma-H2AX
- Perssitent γH2AX in human cells
- Persistent γH2AX in mouse cells and tissues
- Persistent γH2AX in cells and tissues of other animals
- Persistence of gamma-H2AX associated with telomeres
- Senescence-associated persistence of gamma-H2AX
- γH2AX responses in aging
- Consideration of persistent gamma-H2AX for future method development
-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DNA 이중가닥절단(DSBs)에 대한 초기 세포 반응 중 하나인 핵심 히스톤 단백질 H2AX (γH2AX)의 인산화이다. 지속성 γH2AX는 베이스라인 보다 높은 수준으로 대개 DNA DSBs가 회복되는 수일에서 수개월 간 지속된다. 특히 (i) γH2AX 지속성이 인간과 동물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ii) 핵이 후향적 생물학적선량평가가 가능하도록 이온화방사선(IR) 노출 후 수 개월까지 지속성 γH2AX foci를 유지한다는 점, (iii) IR 노출에 대한 각종 방사선 감작제의 조합이 지속성 γH2AX 반응을 유도하며 이에 따라서 화학 요법과 방사선 치료에 대한 암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iv) 지속성 γH2AX가 텔로미어 DNA 및 세포 노화에 의해 세포에 축적한다는 점, (v) 증가된 내인성 γH2AX의 수준이 가속화된 노화성 질병과 연관될 수 있다는 점 등이 최근 문헌을 통해 밝혀졌다. 요약하면, 지속성 γH2AX의 측정은 방사선 생물학적선량평가의 마커, 치료용 유전독성 물질 및 방사선치료에 대한 민감도 평가를 비롯하여 텔로미어와 가속화된 노화성 질병에 대한 수리되지 않은 DNA DSBs의 관련성 연구에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리뷰는 외인성으로 유도된 DNA DSBs (예를 들어 IR, 항암제, 유전독성 물질 등)에서의 지속성 γH2AX와 일반 노화 및 가속화된 노화 질환에서 내생 γH2AX의 수준에 대한 개념을 요약하고 있어 방사선 안전기술 개발, 항암치료의 효과측정, 노화성 질환과 관련된 연구자 및 임상의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