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GDNF-induced cerebellar toxicity: A brief review

    분야

    뇌과학

    개최일

    November 2015

    신청자

    김동수(111denniskim)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1.1. GDNF biology
1.2. GDNF as a disease-modifying agent
1.3. GDNF pharmacokinetics
1.4. GDNF CNS-related toxicology program
2. Cerebellar lesions
3. Potential pathogenic mechanisms
3.1. Excitotoxicity-mediated mechanisms
3.1.1. Ponto-cerebellar pathway
3.1.2. Olivo-cerebellar pathway
3.2. Ischemia
3.3. GDNF immunogenicity
3.4. Exposure to GDNF in cerebrospinal fluid
3.5. Withdrawal of GDNF in cerebrospinal fluid
보고서작성신청
GDNF는 파킨슨씨병 (PD)에서 신경재구성 및 세포보호의 기능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D환자의 putamen 영역으로 투입시 증상완화에 효과를 나타내는 긍정적 효과이면에 지속적 고농도 투여로 인한 현저한 독성이 소뇌영역에서 발생한다는 부정적 측면 또한 보여준다. 특히 소뇌피질의 상당부분에 걸쳐 Purkinje 세포의 소실은 현재 GDNF의 지속적 고농도치료에 있어 큰 문제로 대두된다.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장기간 투여된 고농도 GDNF가 뇌척수액으로이 유입을 통해 소뇌 Purkinje 세포를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 최신리뷰에서는 GDNF의 소뇌 운동중추에 대한 독성이 임상연구에 있어 가지는 의미를 원숭이 동물실험결과를 토대로 잘 설명해주고 있으므로 PD치료에 관심있는 독자에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