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수정된 분석자료 업로드

검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분석한 부분에 미진한 점이 있어서 추가로 작성하였고, 지적해주신 부분도 면밀히 검토하고 모두 반영하였습니다.

재검토해 주실 때 오역이 있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시면 좀 더 충실한 분석물이 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재검토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는 고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이것은 제 개인적인 견해이니, 읽어보시고 피드백을 해 주시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분석할 때 마다, 여러 분석물을 검토할 때 마다 정확한 용어 선택에 항상 많은 시간을 들이면서 고심하게 됩니다. 일반 과학기사나 책, 다양한 매체에서 접하는 글들을 보면, 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적확한 용어를 쓰는 일이 중요함을 항상 깨닫게 됩니다. 이 분석물의 경우에도,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헬리코박터 등은 이제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 보다도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정도로 대중화된 단어로 받아들여집니다. 하지만, 대중적이지 않은 여러 박테리아의 학명이나 구체적인 과학용어는 무척 고민이 됩니다. 혼용에서 쓰자니, 용어 표기에 일관성이 없고, 발음그대로 표기하자니 뭔가 어설픈 것 같아서입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원어 그대로 썼지만, 영어 반, 한글 반으로 점철된 국적불명의 글이 된 것 같아, 병기하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나름대로 생각하였습니다. 본 분석물에서는 검토자분께서 지적하신대로, 원어를 그대로 표기하도록 노력하였습니다만, 어떤 원칙으로 작성하여야 좀 더 완성도 높은 분석물,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전문글이 될까요?
너무 고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