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최종수정본

(7) 그림 3:
"그림 3. disulfide 연결이 있거나 없는 양쪽성 carboxymethyl dextran 유도체의 합성 방법과 약물을 함유한 저산소 외부 자극 나노입자 형성과 생체 내 암세포 표지 경로에 대한 모식도"

(8) 8 page 좌측 상단:
=> 이는 thiol-disulfide 결합이 형성되고 나서 다시 역반응으로 결합이 끊어질 수도 있어서 보다 flexible 한 구조를 이루므로 안정성 있는 자기조립 나노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라는 표현인데 이해하기 쉽게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
"또한 dextran-lipoic acid(Dex?LA)가 접합하여 만든 thiol-disulfide 이용하여 안정성 있는 자기조립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

(9) 9 page 좌측 중단:
=> 무독성으로 수정하였습니다.


(10) 14 page 좌측 중단:
=> 오타입니다. glioblastoma multiforme (GBM) 세포입니다. 이를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
"생체 내 이러한 나노입자들에 대한 긴 시간 동안의 안정성은 glioblastoma multiforme (GBM) 세포 안에서 이들의 유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전임상 실험을 통해 고유의 나노시스템이 많은 약물 전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1) 14 page 우측 중단:
=> BIND Bioscience사에서 개발된 제품입니다.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BIND Bioscienct 사로부터 개발된 BIND-014라는 제품이 있다. "


추가 사항1: => 약어들을 다시 한번 검토하여 수정하였습니다.
추가 사항2: => 지적하신 대로 조사 사용과 문장이 길이를 적정하도록 다시 한번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