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Surface treatments for controlling corrosion rate of biodegradable Mg and Mg-based alloy implants

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임플란트 재료로서의 생분해성 마그네슘/마그네슘 기반 합금
2.1. 정형괴와 응용
2.2. 심혈관계 응용
3. 마그네슘/마그네슘 기반 합금
3.1. 미세 구조
3.2. 기계적 특성
3.3. 부식 특성
4. 부식 속도 조절을 위한 표면 처리
4.1. 코팅
4.2. 코팅 기술
4.3. 기계적 가공
5. 미래 도전 과제 및 방향
5.1. 코팅
5.2. 기계적 처리
6. 결론
보고서작성신청
마그네슘 및 마그네슘 기반 합금은 마그네슘이 가진 내재적 생분해성 특성 덕분에, 의료용 임플란트 재료 및 심혈관계 스텐트 재료로서 큰 각광을 받아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그네슘 기반 합금에서는 체액 내 빠른 부식 등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합금 원소의 첨가, 조성의 변화, 또는 표면 처리 등을 통해 빠른 부식 속도를 조절하려는 시도가 이어져 왔다. 이 분석물은 마그네슘 기반 합금의 부식 속도 조절을 위한 다양한 표면 처리 방법을 시험관내 혹은 체내 시험 방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들을 모은 종합적 분석을 제공하고자 작성되었다. 표면 처리는 보통 다양한 코팅 공정을 통한 얇은 박막을 재료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이며, 또한 기계적 가공법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두 방법 모두 표면에 보호막 재료를 입히거나 혹은 미세구조/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며, 이를 통해 빠른 부식을 막고 합금의 분해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기존에 수행되어 온 다양한 보존 코팅 및 층적 코팅 방법들을 비교하였다는데, 주로 코팅과 기계적 처리라는 두 가지 유형에 의해 분류 및 분석, 토론 되었다. 이를 통해 각각 부식 특성 및 생체역학적 단일성, 생체적합성 그리고 세포 반응성 등을 확인하였다. 향상된 마그네슘/마그네슘 기반 임플란트 재료를 설계 및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잠재적 도전 과제 및 방향 역시 제시되었으며, 본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 시도된 습식 코팅 방법은 아직 완전하지 않으며 새로운 혁신적인 방법들이 시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생체모방형 코팅과 기계적 가공의 혼합을 통한 통합적 처리 방법이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접근법이 될 것이며, 극저온 냉각을 통한 가공 및 광윤 공정의 통합 역시 새로운 접근법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보다 집중된 표면 시험 및 특성 평가를 통해, 마그네슘 합금의 부식 특성이 보다 획기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