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handwritten Chinese address with writing variations
2016-02-29
org.kosen.entty.User@2320b938
장원두(cross1279)
분야
정보/통신
개최일
2016년 4월
신청자
장원두(cross1279)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Abstract
1. Introduction
2. Organization of word-level-tree
3. Handwritten Chinese address recognition
4. Experimental results
5. Conclusion and future work
Acknowledgments
References
1. Introduction
2. Organization of word-level-tree
3. Handwritten Chinese address recognition
4. Experimental results
5. Conclusion and future work
Acknowledgments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필기체 한자 인식을 어렵게 하는 것은 한자의 글자 수 뿐 아니라, 필기형태의 다양성에 기인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한 기존의 어프로치는 주로 대용량의 character-level-tree (CLT) 를 사용하여 테스트 패턴과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CLT는 모든 필기형태를 다루기에 적합한 알고리즘은 아니다. 이 논문은 모든 필기형태를 다룰 수 있는 보다 컴팩트한 형태의 트리를 제안하고 있다. 한국어는 한자와 마찬가지로 2차원상에서 구성된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한국어 필기체 연구에도 이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