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Transport spatial model for the definition of green routes for city logistics centers

    분야

    환경

    개최일

    2016.1

    신청자

    김오식(enviromath)

    개최장소

    URL

    첨부파일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Overview of the models for routing green vehicles
3. The TSDSM model (transport spatial decision support model)
4. Application of the TSDSM
5.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대도시 물류 센터는 교통이 편리한 도시 주변이나 시내에 자리하고 있어, 대도시로 유입 유출되는 물류의 수송역할과 일시적 저장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물류 센터를 이용하는 기업체의 코스트는 5~20%나 절약되고, 운송거리는 60%나 절약되고, 물류 센터의 건설에 의해 운송 차량의 30~60%가 절약되어, 운송 차량에 의한 소음발생과 지구온난화가스의 방출량 삭감과 더불어 운송 물량이 15%나 저감되고 있다. 동식물과 환경 및 인간에 대해 최고의 악영향을 미치는 물류 센터의 대기오염물질은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 및 오존 등이고, 대도시의 대기오염물질에서 점유하는 비율은 90%에 이르고 있으므로, 대도시 물류활동과 지구온난화 및 대기오염에 대한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의 도입이 미래지향적 대안이 될 수 있어, 환경과 건강과 물류활동의 코스트와 이용공간을 고려하여 운송루트를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해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의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의 실정과 환경에 최적인 한국적 모델 개발의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