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Towards a meaningful assessment of marine ecological impacts in life cycle assessment (LCA)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Climate change
3. Ocean acidification
4. Eutrophication-induced hypoxia
5. Seabed damage
6. (Over)exploitation
7. Invasive species
8. Marine plastic debris
9. Research outlook
보고서작성신청
인류는 해양과 해양자원에 의존하면서 살고 있지만, 그 의존성은 급속하게 증대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인류의 해양 활동과 오염(기후변화, 해양산성화, 부영양화, 생태변화, 과다어획, 자원개발, 플라스틱유입 등의 7종)으로 인해 해양생물의 다양성은 급격히 저감되고 있다. 해양환경과 해양생물의 다양성에 미치는 인류의 산업적 활동에 대해 정량적인 환경영향평가를 이행하지 못하는 현단계에서는 그 전주기평가(LCA)의 기법부터 먼저 개발해나가지 않으면 아니된다. 해양환경에 대한 인류의 7종의 오염활동을 지구적 혹은 지역적 규모에서 전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정량적인 접근법과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로서는 그러한 연구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