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bon Dioxide Capture and Utilization by Alkanolamines in Deep Eutectic Solvent Medium
2016-05-31
org.kosen.entty.User@23e025e3
전영호(gulliver)
분야
화학
개최일
2015.10.23
신청자
전영호(gulliver)
개최장소
URL
행사&학회소개
1. 서론
1.1. 반응 기초지식
1.1.1. 수용액 매개체 하에서의 알칸올아민
1.2.1. 비수용액 매개체 하에서의 알칸올아민
2. 실험
2.1. 화합물
2.2. 흡수제의 제조
2.3.. 반응장치 및 절차
3. 결과 및 토의
3.1. 아민농도가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2. 반응시간이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3. 온도가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4. 압력이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5. DES의 재사욤 및 최적 조건의 검증
3.6. AMP 카바메이트의 특성화
4. 결론
참고문헌
1.1. 반응 기초지식
1.1.1. 수용액 매개체 하에서의 알칸올아민
1.2.1. 비수용액 매개체 하에서의 알칸올아민
2. 실험
2.1. 화합물
2.2. 흡수제의 제조
2.3.. 반응장치 및 절차
3. 결과 및 토의
3.1. 아민농도가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2. 반응시간이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3. 온도가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4. 압력이 AMP 카바메이트 생성 수율에 미치는 영향
3.5. DES의 재사욤 및 최적 조건의 검증
3.6. AMP 카바메이트의 특성화
4. 결론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깊은 공융용애 매개체 하에서의 알칸올아민을 사용한 이산화탄소 흡수 및 이용
알칸올아민을 사용한 이산화탄소(CO2) 분리 공정의 가장 큰 단점은 흡수제 재생 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비독성 깊은 공융용매에 용해된 알칸올아민을 흡수제로 한 이산화 탄소 흡수공정을 연구하였다.그 결과 다양한 알칸올아민과 깊은 공융용매 조합 중에서, 염소 염소이온:우레아(1:2) 매개체 하에서의 염화 염소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가장 높은 CO2 흡수능을 보였으며, 또한 부수적으로 부가가치 생성물인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카바메이트 화합물도 얻을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는 향후 새로운 개념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알칸올아민을 사용한 이산화탄소(CO2) 분리 공정의 가장 큰 단점은 흡수제 재생 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비독성 깊은 공융용매에 용해된 알칸올아민을 흡수제로 한 이산화 탄소 흡수공정을 연구하였다.그 결과 다양한 알칸올아민과 깊은 공융용매 조합 중에서, 염소 염소이온:우레아(1:2) 매개체 하에서의 염화 염소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가장 높은 CO2 흡수능을 보였으며, 또한 부수적으로 부가가치 생성물인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카바메이트 화합물도 얻을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는 향후 새로운 개념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