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검토 및 수정사항

분석에 수고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몇가지 수정 사항을 올려드립니다.



분석자 서문: 실재로 --> 실제로

1페이지 하단: (2) 적어도 입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 (2) 적어도 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wear property는 마모성을 의미합니다.)

2페이지 좌측 중단: 입을 수 있어야 하는 특성 --> 마모성이 좋은
(역시 wear property는 마모성을 의미합니다.)

2페이지 좌측 하단: 출발재료 --> 시재료
(출발재료라는 용어보다 시재료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3페이지 좌측 상단: MMPs 효소의 활동을 --> MMP의 full-name 첨가를 부탁드립니다.

3페이지 우측 중단: "치과용 임플란트가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 사이사이에 biocompatibility를 좌우할 수 있는 생체 물질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중요한 내용이기에 이를 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3페이지 우측 하단: 현대 치과의 목표는 바이오필름에 의존하는 구강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에 있다. --> 현대 치과의 목표는 바이오필름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에 있다.
(Biofilm은 세균같은 미생물이 막처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의미합니다.)
홋트 조직 --> 호스트 조직

5페이지 좌측 중단: "치과에서의 나노기술의 기여는 세 가지 분야에서 눈부시게 이루어졌다. (1) 원자힘 현미경(AFM), (2) 이미징 역상 증폭제, (3) 바이오칩 분야이다."라고 언급하셨습니다. AFM, ICE, biochip에 대한 언급을 섹션으로 서술 부탁드립니다. 각각의 기본 기술이 치과 분야에 쓰이고 있는 중요 나노 기술인데 너무 짧게 설명하셨습니다.

5페이지 우측 중단: 치토산(chitosan) --> 키토산(chitosan)

6페이지 좌측 상단: 조직공학 부분에 ECM과 같은 생체 물질과 나노 물질에 대한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서술해 주세요. 생체 물질에 특성에 따라 scaffold에 적용되는 나노 물질이 변화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타: Figure 1번 추가해 주시고 본문과 그림 설명을 서술해 주세요. 이 분석물을 접하는 나노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이해되는 그림이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