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ene-Templated Synthesis of Magnetic Metal Organic Framework Nanocomposites for Selective Enrichment of Biomolecules
2016-06-29
org.kosen.entty.User@31c8ff4f
전영호(gulliver)
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실험
2.1. 구성물질
2.2. 카목실 자기성 그래핀 복합물의 제조
2.3. 그래핀 복합물로의 금속유기복합체의 부착
2.4. 펩티드 용액의 제조 및 펩티드 성분분리
3. 결과 및 토론
3.1. MGMOF 복합물의 제조 및 특성화
3.2. MGMOF 복합물을 사용한 저농도 펩티드의 분리
4. 결론
5. 참고문헌
2. 실험
2.1. 구성물질
2.2. 카목실 자기성 그래핀 복합물의 제조
2.3. 그래핀 복합물로의 금속유기복합체의 부착
2.4. 펩티드 용액의 제조 및 펩티드 성분분리
3. 결과 및 토론
3.1. MGMOF 복합물의 제조 및 특성화
3.2. MGMOF 복합물을 사용한 저농도 펩티드의 분리
4. 결론
5.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금속유기복합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측으로 균일하고 완벽히 코팅된 그래핀- 또는 그래핀 기반- 복합물(composite)의 개발은 매우 도전적인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균일하게 분산되고, 밀도가 크며, 높은 다공성을 가지는 MOF를 그래핀 나노시트의 양면에서 자기 조립(self-assembly)하게 함으로써, 흥미로운 자기성 그래핀- MOF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제조 과정에서, 자기성 나노입자와 카복실기를 양면에 북착한 그래핀을 템플레이트로 사용함으로써, MOF 측의 자기 조립을 제어할 수 있었다.
제조된 그래핀-MOF 복합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적(345.4 m2/g)과 평균 기공크기(3.2 nm)를 가졌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자화포화(saturation magnetization) (23.8 emu/g)를 보였다.
이와 같은 화합물은 생물학적 분자의 선택적 추출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균일하게 분산되고, 밀도가 크며, 높은 다공성을 가지는 MOF를 그래핀 나노시트의 양면에서 자기 조립(self-assembly)하게 함으로써, 흥미로운 자기성 그래핀- MOF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제조 과정에서, 자기성 나노입자와 카복실기를 양면에 북착한 그래핀을 템플레이트로 사용함으로써, MOF 측의 자기 조립을 제어할 수 있었다.
제조된 그래핀-MOF 복합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적(345.4 m2/g)과 평균 기공크기(3.2 nm)를 가졌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자화포화(saturation magnetization) (23.8 emu/g)를 보였다.
이와 같은 화합물은 생물학적 분자의 선택적 추출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