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실험
2.1. 반응물
2.2. Au NC의 제오
2.3. 태양전지의 조립
2.4. 특성화
2.5. DFT계산
3. 결과 및 토론
3.1. 다양한 크기의 Au NC의 광학적 성질과 전자적 구조
3.2. 태양전지 성능의 입자크기 의존성
3.3. 태양전지 성능의 전해질 의존성
4. 결론
5.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최근, 분자유사거동을 보이는 금 나노클러스터(Au NC)가 다양한 에너지전환 시스템과 관련하여 새로운 광수용체(light harvester) 소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몇몇 중요한 진보가 있었지만, 아직 NC를 광수용체로 사용하는 노력은 그 잠재성이나 실현가능성을 증명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태양전지 응용과 관련하여, 2%이상의 전력전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이 최근 보고되었다. 여기서 더 진보하기 위해서는, 금속 클러스터 감광 태양전지(metal cluster-sensitized solar cell, MCSSC)의 완전한 이해가 부족하여 성능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계면현상이나 제한인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어려운 상황을 타파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DFT계산과 더불어, 심층(in-depth)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 해석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alysis)을 사용하여, Au NC를 사용한 MCSSC의 내부현상을 근본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Au NC의 입자크기와 전해질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는바, 이런 인자들이 광흡수능, 전자 주입 동력학, 계면 전하 재조합과 전하 수송 같은 중요한 지표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