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bone turnover ― role of the immune system
2016-06-30
org.kosen.entty.User@21411954
김병규(goldenlion)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17 Jun 2016
신청자
김병규(goldenlion)
개최장소
URL
행사&학회소개
-Introduction
-Physiological bone turnover
-Pathological bone turnover
-Bone formation
-Therapies and novel interventions to prevent oestrogen deficiency bone loss.
-Conclusion
-Physiological bone turnover
-Pathological bone turnover
-Bone formation
-Therapies and novel interventions to prevent oestrogen deficiency bone loss.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골다공증은 조골세포기반의 골 형성 속도 보다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 속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뼈의 구조나 강도가 약해지고 골밀도(BMD)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한다. 골다공증은 특히 골절 등의 위험이 증가하여 노년층의 치명적인 질병 과 사망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골 형성 및 골 흡수간의 불균형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종종 다른 병적인 상태에 의해서 촉진되기도 한다. 지난 이십 여 년간 골격계와 면역계간(immuno?skeletal interface, 이하 ISI)의 조절이 골다공증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져 왔다. 비록 생리학적 환경에서는 골격이 보호되고 있지만 다양한 많은 병적인 상태에서는 ISI가 발생하는 골 파괴에 관여할 것이다. 많은 연구들이 면역계가 어떻게 기본적인 상태 혹은 병적인 상태에서 파골세포에 의한 뼈 흡수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었는데, 최근에는 적응 면역반응이 조골세포의 뼈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분석물 에서는, 골 면역학 분야의 발전 과정과 어떻게 하면 ISI를 조절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요약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