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3차 검토합니다.

많이 향상이 되었습니다.

minor comments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추가적으로 그림들을 넣으셨는 데, 그림의 Numbering 및 A, B, C 등의 그림에 대해서는 한줄 정도로 친절한 설명을 붙여주셔야 합니다.
2. 부정확한, 부족한, 구체적이지 않은 내용들의 보완 필요 (예를 든 것뿐만 아니라, 2-3줄 짜리는 다시 보완 필요하다고 계속 피드백 드렸습니다니다) 학회 참가하지 않은 사람과 전혀 차이가 없는 내용들임
1) Plasticity of epidermal stem cells/Fiona Watt/King’s College London, U.K: Watt 는 마우스 표피에 다양한 줄기세포가 존재하며 이들이 고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면서 이러한 줄기세포의 유연성에 기여하는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외부 신호 전달 체계를 유지하는 전사 인자에 관해 발표하였다
- 전사 인자 무엇?
2) Dissecting chromatin to enhance cell reprogramming/Knneth Zaret/University of Pennsylvania, U.S: Zaret 은 대개 이 부분의 유전자는 불활성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 속에 존재하는 여러 단백질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이질염색질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특정한 세포로 결정되는지를 개관하였다.
- "새로운 방법"이라고 한다면 구체적인건가요?
3) Brain repair and reprogramming/Malin Parmar/Lund University, Sweden: Parmar 는 생체 내에서 reprogramming 인자들을 뇌에 전달시켜 특정 세포 유형으로 재편성시키는 방법에 대해 발표하였다. 개인적으로 이 시도는 흥미로웠다. 줄기세포에 국한되지 않더라도, 뇌 조직의 특정 세포 군을 우리가 원하는 세포 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면, 외부에서 세포배양을 통해 전환시키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기존의 시도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reprogmming 인자들 무엇??

다시 한번 오타 및 띄어쓰기 확인하고, 수정 부탁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