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el Preparati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Nanofiber?Graphene Nanoplatelet Materials
2016-08-31
org.kosen.entty.User@6097424b
전영인(yijhon)
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실험
2.1. 소재
2.2. CNF의 제조
2.2.1. 가압 회전
2.2.2. 탄소화 및 SPS 공정
2.3. 특성화
2.3.1. 평균 섬유 크기 및 크기 분포
2.3.2. 열중량 분석
2.3.3. 형태 특성 및 결정화
2.3.4. 전기 전도도 측정
2.3.5. 기계적 성질 시험
3. 결과 및 토론
3.1. 섬유 직경분포
3.2. CNF의 열중량분석
3.3. PAN기반 섬유의 형태 특성
3.4. CNF의 결정구조 분석
3.4.1. SPS 전후의 CNF의 라만 분석
3.4.2. GNP와 CNF 복합물의 TEM 분석
3.5 CNF의 전기적 물성
3.6. CNF의 기계적 물성
4. 결론
5. 참고문헌
2. 실험
2.1. 소재
2.2. CNF의 제조
2.2.1. 가압 회전
2.2.2. 탄소화 및 SPS 공정
2.3. 특성화
2.3.1. 평균 섬유 크기 및 크기 분포
2.3.2. 열중량 분석
2.3.3. 형태 특성 및 결정화
2.3.4. 전기 전도도 측정
2.3.5. 기계적 성질 시험
3. 결과 및 토론
3.1. 섬유 직경분포
3.2. CNF의 열중량분석
3.3. PAN기반 섬유의 형태 특성
3.4. CNF의 결정구조 분석
3.4.1. SPS 전후의 CNF의 라만 분석
3.4.2. GNP와 CNF 복합물의 TEM 분석
3.5 CNF의 전기적 물성
3.6. CNF의 기계적 물성
4. 결론
5.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다양한 농도의 그래핀 나노소판(graphene nanoplateles, GNP)을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섬유를 가압 회전(gyration)을 통해 제조하였으며, 이어지는 열적처리와 불꽃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통해 최종적으로 탄소나노섬유를 얻었다. 이와 관련하여, 회전 속도, 압력, 탄소화 및 SPS 온도 같은 공정파라미터가 나노섬유의 지름크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그 밖에 열적 물성, 형태 특성, 결정화 특성 등을 알아 보았다. 그 결과, 회전 조건, GNP 농도 등이 나노섬유물성을 매우 크게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