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Cell stretching devices as research tools: engineering and biological considerations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Actuation concepts
2.1 Pneumatic actuation
2.2 Piezoelectric actuation
2.3 Electromagnetic actuation
2.4 Optical actuation
2.5 Other actuators
3. Design considerations
3.1 Biocompatibility
3.2 Substrate properties
3.3 Control strategies
3.4 Stretching direction
3.5 Size of the actuation system
4. Biological considerations
4.1 Mechanobiology
4.2 Mechanotransduction
5. Conclusions and perspective
보고서작성신청
사람 몸안에 있는 세포는 계속적이고, 주기적인 기계적인 변위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장기들이 동작하고, 움직이고, 성장하기 때문이다. 세포는 기계적인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 과정을 세포역학신호변환 (mechanotransduction)이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세포역학신호 변환에 대해 좀 더 이해하는 것은 임상학자, 과학작들에게는 대단한 흥미거리인데는 이는 임상적 진단과 의학 병리학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내의 생리적 시스템에 관련된 복잡성은 좀 더 좋은 체외 진단 기술의 필요를 만들었다. 유도된 기계적 변위를 사용하는 세포에 대한 미세 환경을 모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한 기술적인 갭은 기계적 자극에 대한 세포의 대응을 좀 더 잘 이해할 수있도록 세포 스트레칭 소자의 개발에 동기를 제공하고 있다. 본 리뷰는 그러한 세포 스트레칭 소자의 개발에 대한 공학적, 생리적 고려상황에 집중하고 있다. 본 리뷰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칭 개념, 세포 스트레칭의 생리학적인 면에서 주요한 설계상의 고려점을 토론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구 분야에서의 미래 기술 개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본 분야의 전공자 혹은 이 분야에 관김있는 일반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