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Interpretation of fish biomarker data for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risk assessment and testing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Fish biomarkers
2.1. Vitellogenin
2.2.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2.3. Sex ratio
3. Evaluation of fish biomarker data
4. Confounding factors
5. Regulatory perspectives
6.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환경호르몬을 확인하여 인체내의 축적과 동물체내의 축적 및 어패류의 체내축적을 예방하는 일은 현대 인류의 지속가능성과 연계되어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실험해 보기 쉬운 어류의 체내 축적부터 연구해보는 것이 그 첩경이라고 할 수 있다. 어류 체내에서의 환경호르몬의 흐름 모드와 메커니즘을 어류난황단백질(VTG)과 이차적 성징특성(SSC) 및 암수비율 등의 어류 바이오마커로서 규명하여 그에 대한 가이던스를 계발하는 것이 목적인 논문이므로, 다양한 분야의 학인들이 분석해 정리할 가치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