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Extracellular vesicles swarm the cancer microenvironment: from tumor?stroma communication to drug intervention

행사&학회소개
1. EVS AT THE INTERFACE OF STROMAL COMMUNICATION
2. MODULATION OF EV COMPOSITION
3. EVS REPROGRAM CANCER CELL METABOLISM
4. STROMAL EFFECTS OF EVS
EVs mediate fibroblasts and cancer cell changes
EVs set the place and time for neo-angiogenesis
EVs tune the immune response
EVs as ‘real-time’ biomarkers during cancer therapies
5. CONCLUSION AND OUTLOOK
보고서작성신청
세포 간 정보교환은 변형된 세포가 생존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보조를 맞춰준다. 세포외 소포체(etracellular vesicles, EVs)는 엑소좀, 미세소포체, 온코좀 등을 포괄하는 세포소기관으로서 암 세포가 섬유아세포, 혈관내피세포, 면역세포 등과 상호 전달신호 및 분자를 주고 받는 과정에 관여한다. 결과적으로 이 세포들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암 미세환경에 위치하게 되거나 적응하게 된다. 게다가 세포외소포체는 항암치료반응에도 관여하는 데, 특히 표적 암 세포에 대한 항암제 내성을 증가시킨다. 순환하는 세포외소포체는 다른 정상조직에서 전이성 미세환경을 미리 구축하기 위해 원거리 세포에 모세포의 주요 분자들을 수송할 수도 있다. 세포외소포체 생물학에 대한 이해와 규명은 암 진단과 치료 발전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줄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암 발생의 거의 모든 단계에 관여하는 세포외소포체의 역할에 대해 환기시켜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정리하고 있는 세포외소포체 생물학의 폭넓은 이해를 통해, 암 엑소좀의 생물학적 유용성(암의 진단과 치료의 표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최근 동향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동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지평을 넓혀줄 수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