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geting adipose tissue in the treatment of obesity-associated diabetes
2016-11-02
org.kosen.entty.User@b4505e5
조준석(jscho0191)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3 June 2016
신청자
조준석(jscho0191)
개최장소
URL
행사&학회소개
인체의 에너지 항상성
비만에 의한 제 2형당뇨의 현행 치료법
지방세포 분비 물질 (Adipokine)에 기반을 둔 치료법
갈색 지방조직의 활성과 백색 지방조직의 갈색화
PPAR-r 신호전달의 조절
지방조직의 염증, 섬유화, 저산소증
지방세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
비만에 의한 제 2형당뇨의 현행 치료법
지방세포 분비 물질 (Adipokine)에 기반을 둔 치료법
갈색 지방조직의 활성과 백색 지방조직의 갈색화
PPAR-r 신호전달의 조절
지방조직의 염증, 섬유화, 저산소증
지방세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
보고서작성신청
비만 환자에게서 지방조직의 기능장애는 대사 항상성의 저하, 인슐린 저항성, 제 2형당뇨 등과 깊은 연관이 있다. 현재 미국에서 승인된 비만과 제 2형당뇨를 위한 치료들은 부작용들과 장기적인 치료 효과의 미약함으로 인해 상당히 제한적이다. 본 분석은 대사 항상성에 있어 지방조직의 역할과 지방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최신 치료제 개발 전략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나아가 세포생물학적 면역학적 접근에 의한 기초과학적인 기작을 정리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