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Chronic Heart Failure and Inflammation

행사&학회소개
-개요, 만성 심부전 발생 원인 (Causes of Chronic HF)
-만성 심부전의 병리적 특징 (Defining the Study of Chronic HF: An Important Distinction From Acute Injury and Repair)
-염증 반응을 타겟으로 한 심부전 임상 연구 결과 (Clinical Trials Targeting Inflammation in Established Chronic HF)
-만성 심부전의 동물 연구 결과 (Animal Studies of Established Chronic HF)
-앞으로의 연구 방향, 염증 반응을 기초로 한 치료 전략 (Future Directions: The Promise of Immune-Based Therapeutic Strategies)
-결론
보고서작성신청
심부전은 각종 심장 질환의 최종적인 형태로 심근 세포의 손실과 심근 수축력 저하, 심섬유화 (cardiac fibrosis), 만성 염증 반응 (Chronic inflammation)이 그 특징이다. 그동안의 심부전 연구는 심근 세포의 손실과 심근 수축력 저하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심기능을 향상시키는 쪽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심부전시 일어나는 만성 염증 반응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염증 반응이 심부전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이 review는 심장 염증 반응의 분자적 기작을 정리하고 그간의 임상 연구와 동물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 분석은 최근 심혈관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심장의 염증 반응을 정리함으로 이 분야의 최근까지의 연구 현황을 한눈에 보는데 도움이 될꺼라 생각된다.